경제·정책 연구

중동에서의 美-中 경쟁과 중동의 대응(다극화 정책) 및 시사점

2023.02.22 서상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후 잊혀졌던 중동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이는 전쟁에 따른 고유가로 중동의 지정학적 중요성이 부상하면서 미-중 간의 중동에서의 경쟁도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중동 국가들 역시 지정학 중요성을 활용하여 안보와 경제에서 실리적인 이익을 위해 정책 다극화를 추진하는 등 대응하고 있다. 최근 중동에서의 미-중 경쟁과 이를 활용한 중동 국가들의 대응방안 등을 들여다보자.
목차
  • 1. 중동에서의 미-중 경쟁

  • 2. 미국의 對중동 정책

  • 3. 중국의 對중동 정책

  • 4. 중동의 대응 방안: 다극화 정책

  • 5. 시사점

Executive Summary

  • 중국의 국제 영향력 부상으로 중동에서 미국은 영향력 축소, 반면 중국은 영향력 확대 등 양국 영향력 변화

    • 미국은 중국 영향력 확대 억지 위해 중동 전략 자산의 ‘아-태 지역’ 집중으로 중동 영향력 축소

    • 중국은 중동 최대 교역국이자 에너지 수입국으로 중동과의 경제 협력 확대

    • 2022년 러-우 전쟁으로 중동 지정학 중요성이 커지자 미국은 중동 정책 재검토

  • 미국은 중동의 에너지 및 지역 안보 유지 위해 군사 협력에 중점

    • 특히 최근 중동에서 영향력이 커지고 있는 중국과 이란 핵 개발 억지를 위해 카타르, 쿠웨이트, 바레인, 사우디 등 주요 국가들에 군사기지 유지

    • 또한 중국의 일대일로 대응과 경제협력을 목표로 이스라엘, 인도, UAE, 미국 등 4개국은 ‘중동판 쿼드’인 ‘I2U2’를 결성

    • 2022년 7월 바이든의 중동 순방을 계기로 미국은 그동안 관계가 악화된 이스라엘 및 사우디와의 관계 개선을 모색 중

  • 중국은 자국 에너지 안보 최우선 속 중동에서의 정치, 경제 영향력 확대 중

    • 미국의 이라크 및 아프간 철수, 사우디 등 친미 국가들과의 관계 악화 틈새 공략을 통해 영향력 확대

    • 중동 최대 교역국인 중국은 2021년 GCC+이란과의 무역액이 2,480억 달러로 미국의 4배에 달함

    • 또한 중동은 유럽과 아프리카를 연결하는 일대일로의 주요 거점이자 최대 투자처로 부상

  • 중동은 기존의 친미 일변도에서 중국, 인도, 한국 등 아시아와 협력 강화

    • 중동 국가들의 다극화 정책 주요인은 안보 확보로 미국에 전적으로 의존한 안보 공백 우려감이 커지고 있기 때문

    • 또한, 에너지 의존 경제의 취약성 탈피 및 산업 다각화 필요성 증대도 요인

  • 중동 국가들의 아시아 중시 정책에 따라 한-중동 산업 협력 확대 기회

    • 2010년 이후 사우디 및 UAE는 산업 다각화 일환으로 한국과 경제협력 강화

    • 사우디와는 스마트 인프라(네옴시티 등), 수소 등의 사업 참여 기회가, UAE와는 수소, 보건(병원 건립), 스마트 팜 등의 사업 기회 모색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