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철강사들이 통합을 통해 더욱 대형화하고 있는 가운데 인도의 민간 철강사인 JSW Steel이 2025년 4천만톤의 조강능력을 확보하여 세계 3위 철강사로 부상하겠다는 장기비전을 추진 중이다. 이에 JSW의 설립배경과 성장전략을 알아보고 앞으로 직면하게 될 많은 도전과제와 향후 전망에 대해 분석하였다.
[목 차]
1. 검토 배경
2. JSW Steel의 설립 배경
3. JSW Steel의 성장전략
4. JSW Steel의 도전 과제
5. 향후 전망
Executive Summary
○ 금년 인도 1위 철강사로 도약이 예상되는 JSW Steel은 2025년까지 4천만 톤 조강능력을 확보, 세계 3위 철강사로 부상하겠다는 장기비전을 추진 중
- 중국 철강사들이 통합을 통해 더욱 대형화되고 있는 가운데, 2005년 발족 당시 3백만 톤도 안되었던 JSW가 향후 인도뿐 아니라 세계 시장에서 새로운 강자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되어 철강기업들의 대응방안 마련이 필요
○ JSW는 2005년 그룹사 내 합병으로 재탄생한 이후 경제 호황과 지속적 투자에 힘입어 수익성 회복은 물론 연평균 30%의 높은 성장세를 실현
- 지난 30년간 Jindal Group의 판재류 사업을 맡아온 Sajjan Jindal 회장이 추진해온 성장전략은
1) Brownfield(증설) 투자에 집중: Vijayanagar 제철소를 인도 최고로 육성
2) M&A 통한 빠른 성장: Ispat Industries 전격 인수 후 능력증강 투자
3) 제품 고부가가치화: JFE와 협력해 자동차강판, 전기강판 등 고급강 생산
4) 수직 일관화 추진: 발전, 시멘트, 항만 등 관련 다각화 통해 사업 확장임
○ 그러나 JSW Steel도 ‘대규모 공급과잉 시대’를 맞아 지금까지와는 다른 사업환경이 예상되어 2025년 4천만 톤 능력 확보를 위해 많은 도전과제 해결이 필요
1) 재무구조 개선: 최근 신설한 설비들의 가동률 제고와 부채감축 및 자본 확충이 시급. 특히 부실한 미국 사업장의 매각 또는 청산이 필요
2) 저렴한 원료자산 확보: SAIL, Tata와 달리 인도 내 Captive Mine이 없어 국내 경쟁사는 물론 중국산 등 저가 수입재와의 경쟁에서 불리
3) 대규모 능력 확대 투자: ①기존 제철소에서 증설투자 지속, ②인도 내 대형 철강사 M&A 단행, ③동부지역에서 일관밀 제철소 신설 등의 옵션 중에서 톤당 투자비, 시너지 효과, 투자여건 성숙 등을 고려하여 선택 필요
특히 철강산업의 부실화로 구조재편이 불가피한 가운데 Essar, Bhushan, NMDC 제철소 등의 일관밀 인수에 관심을 갖고 추진할 것으로 예상
○ JSW Steel은 인도에서 가장 경쟁력이 높고 성장 의욕이 강한 철강사로서 당분간 인도시장은 JSW의 독무대가 될 것으로 보이며, 장기비전 달성을 위해 지속적인 기회 모색과 과감한 의사결정을 해 나갈 것으로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