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생태계의 중요성이 부상하는 가운데 철강산업에서도 생태계 강건화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강건한 생태계가 무엇인지, 그리고 이를 위해 어떤 활동을 해야 하며 그 결과를 어떻게 측정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논의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태계의 강건성을 구성하는 속성들을 살펴보고, 철강산업의 고유 특성 등을 반영한 철강 생태계 강건성 측정 지표를 제시한다.
[목차]
1. 한국 철강 생태계의 취약성
2. 생태계 강건성 구성요소 및 측정지표
3. 철강 생태계 강건성 측정
4. 종합 및 제언
[Executive Summary]
○ 수요침체와 설비과잉에도 불구 업체간 과당 경쟁, 수입재 유입 지속 등 철강 생태계의 취약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음
- 수요산업 침체와 소재가격 상승으로 하공정밀이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장기화될 경우 상공정 또한 타격에 노출될 수 있음
- 이에 따라 철강 생태계 강건화가 시급한 과제로 부상
- 또한 이미 성숙기로 접어드는 철강산업의 생태계 강건성 유지는 업계 차원에서 보면 내수시장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과제
○ 생태계의 강건성이란 기업간 네트워크의 ①생산성, 외부 충격에 대한 ②견고성, 그리고 가치증대를 위한 생태계의 ③혁신성을 의미함
- 비즈니스 복잡성이 증가할수록 생태계 경쟁력에 따라 기업성과가 달라질 수 있음
- 학계/연구기관들을 중심으로 개발된 타 분야 생태계 강건성 측정지표 사례를 검토하고 철강산업의 특성을 반영해 강건성 측정지표를 수정해 활용하고자 함
○ 철강의 중간재 특징, 진입/퇴출의 경직성, 산업 성숙도를 감안해 철강 생태계 강건성 측정 지표를 도출
- 주로 매출성장률로 측정되는 생산성은 중간재 성격을 감안하여 업종별 부가가치를 적용(총요소생산성, 인당 부가가치, 총자본투자효율)
- 견고성은 사업체 생존율 등으로 측정하나 퇴출장벽이 높은 철강산업 특성을 반영하여 주요 소재 가격변동에 따른 세부업종별 수익변동성을 측정
- 혁신성은 산업 성숙도를 고려, 업계 내 신규창업보다는 철강기술 R&D, 수요산업 공동 제품개발, 철강전문서비스 만족도 등 활용
- 실제 적용을 위해서는 정량지표의 활용가능성 및 정성요인 측정을 위한 설문개발과 함께 측정결과 활용목적에 따른 지수화 방안 모색 필요
○ 철강 생태계 강건성 측정은 생태계 관련 정책개발과 정책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진단 Tool로서 활용 가능
- 구체적 정책목표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데이터의 시계열화 누적이 되면 도입된 정책의 실행 효과성 측정에도 활용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