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 변화로 인해 다양성 관리가 필요한 시대가 도래
○ 창조기반 경제, 네트워크 경쟁 등 최근 경영 환경이 복잡해짐에 따라 조직 내 인적 다양성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음
○ 다양성을 필요로 하는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들도 인력과 문화 측면에서 다양성 강화 프로그램을 운영
□ 다양성 관리는 목적 및 기업과 사회의 성숙도에 따라 3단계로 구분이 가능하며, 다양한 성공/실패 사례가 존재
○ 첫째, 법적 제재를 피하기 위한 목적인 단계로, 이 단계에서는 주로 고용평등법규 준수나 사내 차별요소 철폐를 주로 수행
(실패: 미쓰비시 미국에서 피소, 성공: IBM의 해외 다양성 전담팀)
○ 둘째, 다양성의 차이를 사업에 활용하는 단계로, 주로 창의적 문화를 구현하거나 소수자가 가진 장점을 사업에 활용
(실패: 도요타 순혈주의가 부른 리콜, 성공: IDEO 통섭기반 디자인)
○ 셋째,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것이 목적인 단계로, 이 단계에서 기업은 사회적 소수자를 포용하거나 상생의 가치를 구현하기 위해 노력
(실패: 파파존스의 인종차별 이슈, 성공: Google의 시각장애인 활용)
□ 다양성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만큼 국내 기업들도 회사의 위상과 목적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필요
○ 국내의 다양성에 대한 인식도 높아지고 있어서 다양성의 가치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업의 노력도 가시화되고 있음
○ 다양성 관리에 대한 인식 수준 향상을 고려하여 3단계 목적 중 취약부분에 대해서는 적절한 개선 노력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