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검색결과 21
  • 제목순 제목순 위로 정렬 제목순 아래로 정렬
  • 등록일 등록일 위로 정렬 등록일 아래로 정렬
  • 조회순 조회순 위로 정렬 조회순 아래로 정렬
  • 추천순 추천순 위로 정렬 추천순 아래로 정렬
  • [친디아 플러스] vol.110

    [TCS 21] 글로벌 경제의 구조적 변화가 가져올 미래의 경제 질서_세인트루이스 워싱턴대 신용석 교수

    • 날짜2023.03.08

    2023년 글로벌 경제는 미-중 패권 경쟁, 러-우 전쟁 등 지정학적 불안과 함께 글로벌 경기침체와 인플레이션이 복합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새로운 구조적 변화를 맞이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2023년 첫 Trend Catch Seminar로 최근 주목받는 거시경제 학자 중 한 명인 美 세인트루이스 워싱턴대 경제학과 신용석 교수를 온라인으로 초청해 <세계 경제의 구조적 변화>에 대해 강연을 듣고 의견을 교환했다.

    ---------------------------------------------------------------------------------------------------------
    ◈ 일자 :  2023년 3월 8일(수)  

    ◈ 주제 :  글로벌 경제의 구조적 변화가 가져올 미래의 경제 질서

    ◈ 발표자 :  美 세인트루이스 워싱턴대 경제학과 신용석 교수 
    ---------------------------------------------------------------------------------------------------------

    • 조회수 : 181
    • 추천수 : 0
  • [친디아 플러스] vol.110

    [TCS 20] 철강의 탈탄소화-그린 스틸 생산과 판매의 도전_Boston Consulting Group

    • 날짜2022.12.13

    '철강의 탈탄소화-그린 스틸 생산과 판매의 도전' 주제로 제 20회 Trend Catch Seminar 개최 (22.12.13)

    포스코는 전세계 탄소중립 선언의 흐름과 고객사에 요구에 부응하며 2020년 아시아 철강회사 중 최초로 2050 탄소중립을 선언했고, 그 실천을 위해 수소환원제철 연구 및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또한 친환경 자동차용 강재 ‘이 오토포스(e Autopos)’, 친환경 에너지용 강재 ‘그린어블(Greenable)’, 친환경 강건재 ‘이노빌트(INNOVILT)’ 등 3대 친환경 강재 브랜드 생산 및 판매 비중 확대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글로벌 컨설팅 펌 BCG의 철강 탈탄소 분야 전문가 두 분을 온라인으로 모시고 'Steel decarbonization: challenges in making and selling green steel(철강의 탈탄소화-그린 스틸 생산과 판매의 도전)'에 대해 세미나를 개최했다.

    ---------------------------------------------------------------------------------------------------------
    ◈ 일자 :  2022년 12월 13일(화)  

    ◈ 주제 :  Steel decarbonization: challenges in making and selling green steel

    ◈ 발표자 :  Nicole Voigt, BCG(Düsseldorf), Managing Director and Partner

                    Marie-Luise Meyer, BCG(Berlin), Principal 
    ---------------------------------------------------------------------------------------------------------

    • 조회수 : 212
    • 추천수 : 0
  • [친디아 플러스] vol.110

    [TCS 19] 혁신적인 기업 홍보 전략_서경종 온보드 크리에이티브 디렉터(CD)

    • 날짜2022.12.01

    '혁신적인 기업 홍보 전략' 주제로 제 19회 Trend Catch Seminar 개최 (22.12.01)

    대내외적으로 스토리텔링, 소통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기업의 홍보, 커뮤니케이션 전략도 진화하는 가운데 포스코 그룹도 올 3월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면서 기존의 중후장대한 제조업 이미지를 넘어 수소, 이차전지소재 등 친환경 소재 전문기업으로서의 역할과 소통을 강화하고 있다. 이에 서경종 온보드 크리에이티브 디렉터(CD)를 초청해 '혁신적인 기업 홍보전략'에 대한 세미나를 개최했다.

    서경종CD는 한국 광고의 새 역사를 썼다는 평가를 받는 '범 내려온다'로 알려진 한국관광공사의 'Feel the Rhythm' 캠페인을 기획한 광고인으로 해당 캠페인은 작년 기준 3억 뷰 이상을 달성하였으며 구글이 뽑은 세계에서 가장 많이 본 광고 순위 8위, 한국광고대상 등을 수상한 바 있다. 

    ---------------------------------------------------------------------------------------------------------
    ◈ 일자 :     2022년 12월 1일(목)  

    ◈ 주제 :     혁신적인 기업 홍보전략(가제)

    ◈ 발표자 :  서경종 온보드 크리에이티브 디렉터(CD)
    ---------------------------------------------------------------------------------------------------------

    • 조회수 : 168
    • 추천수 : 0
  • [친디아 플러스] vol.110

    [TCS 18] 배터리 및 원료 전망 - 우드 맥킨지(Wood Mackenzie)

    • 날짜2022.11.29

    우드맥킨지(Wood Mackenzie)와 '배터리 및 원료 전망' 주제로 제 18회 Trend Catch Seminar 개최 (22.11.29)

    영국 기반 글로벌 원자재 데이터 분석 컨설팅 기관인 Wood Mackenzie 애널리스트 3명과 EV, ESS 섹터 핵심 동향, 배터리 Midstream의 기술 및 지정학적 챌린지, 배터리 원료 투자 트렌드 등 '배터리 및 원료 전망(Batttery & Raw Materials Outlook)'을 주제로 TCS 세미나를 개최했다.

    ---------------------------------------------------------------------------------------------------------
    ◈ 일자 :  2022년 11월 29일(화) 

    ◈ 주제 :  배터리 및 원료 전망(Batttery & Raw Materials Outlook)

    ◈ 발표자 :  James Whiteside, Head of Corporate Metals & Mining 

                    Max Reid, Head of Battery Raw Materials Service / Multi commodity 

                    Egor Prokhodtsev, Senior Analyst of Battery Raw Materials

    ---------------------------------------------------------------------------------------------------------

    • 조회수 : 149
    • 추천수 : 0
  • [친디아 플러스] vol.110

    [TCS 17] 적기 시너지 창출을 위한 PMI 성공방안_박진석 Korn Ferry 대표

    • 날짜2022.11.10

    '적기 시너지 창출을 위한 PMI 성공방안' 주제로 제 17회 Trend Catch Seminar 개최 (22.11.10)

    국내외 기업들이 기존 주력 사업의 경쟁력 강화나 신성장 동력 확보 등을 위해 많은 M&A를 추진하는 가운데
     M&A 기대효과를 극대화하려면 M&A 자체도 중요하지만 인수 후 통합 과정이 오히려 더 중요해졌다. 

    글로벌 컨설팅펌 Korn Ferry 박진석 대표를 초청해 M&A 후 시너지 창출과 밸류업을 위해 PMI를 어떻게 준비, 실행해야 하는지, PMI의 성공, 실패 사례 등에 대해 세미나를 개최했다.

    ---------------------------------------------------------------------------------------------------------
    ◈ 일자 :  2022년 11월 10일(목) 

    ◈ 주제 :   적기 시너지 충출을 위한 PMI 성공방안

    ◈ 발표자 :  박진석 대표, Koren Ferry (Seoul)

    ---------------------------------------------------------------------------------------------------------

    • 조회수 : 81
    • 추천수 : 0
  • [친디아 플러스] vol.110

    [TCS 16] 국제무역의 구조적 변화_권구훈 골드만삭스 수석 이코노미스트

    • 날짜2022.11.04

    '팬데믹 이후 긴축 정책(Post-pandemic Tightening—Asian Exporters)' 주제로 제 16회 Trend Catch Seminar 개최 (22.11.04)

    팬데믹 이후 세계경제는 구조적 변화를 하고 있으며, 1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형성된 자유주의적 세계질서가 변곡점을 맞으며 심대한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거대한 변화는 수출을 토대로 고도성장을 이룬 한국에게 큰 도전으로 다가오고 있다.

    이에 골드만삭스 아시아담당 권구훈 선임 이코노미스트를 초청해 팬데믹 이후 세계경제의 단기전망과 중장기 구조적 이슈 등 글로벌 트렌드 변화 현상을 글로벌 맥락에서 조망했다.

    ---------------------------------------------------------------------------------------------------------
    ◈ 일자 :  2022년 11월 04일(금) 

    ◈ 주제 :  팬데믹 이후 긴축 정책 (Post-pandemic Tightening—Asian Exporters)

    ◈ 발표자 :  권구훈 골드만삭스 아시아 담당 수석 이코노미스트

    ---------------------------------------------------------------------------------------------------------

    • 조회수 : 97
    • 추천수 : 0
  • [친디아 플러스] vol.110

    [TCS 15] 필립 엥글린 WSD CEO 초청 세미나

    • 날짜2022.11.03

    - ‘2023 글로벌 철강산업: 위기의 시작인가’ 주제로 강연 

    WSD(World Steel Dynamics)의 필립 엥글린(Philipp Englin) CEO가 11월 3일 포스코경영연구원(원장 고준형) 주최한 트렌드 캐치 세미나(Trend Catch Seminar)에서 ‘2023 글로벌 철강산업: 위기의 시작인가? (Global Steel in 2023: Calamity Looming?)’라는 주제로 강연했다.
     
    WSD는 세계적인 철강 전문 분석기관으로 글로벌 철강시장에 대한 다양한 전망 보고서와 자문을 제공하고, 매년 전세계 주요 철강사 경쟁력 순위도 발표하고 있다.
     
    필립 엥글린 CEO는 2008년부터 WSD에 재직하면서 글로벌 철강정보시스템 구축과 컨설팅 업무를 주도했고, 철강산업에 대한 혜안을 가진 최고 전문가 중 한 명으로 손 꼽히고 있다.
     

    ▲ 포스코경영연구원이 11월 3일 트렌드 캐치 세미나에서 필립 앵글린 WSD CEO를 초청해 강연을 듣고 있다.
     
    이날 온라인 강연에서 엥글린 CEO는 최근의 철강경기 급락은 각국의 금리인상과 유럽 에너지 위기 등으로 시장에서 부정적 심리가 확산됨에 따라 가속화한 경향이 있으며 당분간은 철강수요와 가격이 부진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이에 따라 내년 세계 철강수요는 2.1% 감소하고 중국수요도 1.5% 감소할 것으로 보고 철광석, 스크랩 등 원료가격도 약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엥글린 CEO는 수요 부진과 연·원료 가격 약세 예상에도 불구하고 내년 초에 철강가격이 반등할 수 있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그 근거로 우선 그 동안의 생산 감축 영향으로 재고부족이 발생하면서 새로운 재고 확충 수요가 발생해 내년 1분기 가격이 반등할 확률이 75%임을 들었다. 기타 철강가격 반전 요인으로 시진핑 3기 정부의 제로코로나 완화정책에 따른 중국 경제의 회복, 러-우 협상 진전에 따른 유럽 에너지 위기의 해결 등을 꼽았다.
     
    포스코경영연구원 고준형 원장은 “미중 갈등, 러-우 사태 등 지정학 리스크가 확대되고 인플레이션, 경기침체 우려가 가세하면서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World Bank) 등 주요 기관들은 내년도 경제에 대한 어두운 전망을 내놓고 있다. 글로벌 복합위기로 국내외 철강산업도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오늘 강연은 내년 철강경기의 향방을 판단하는데 도움이 되는 시간이었다”고 말했다.
     
    포스코경영연구원은 12월 방한 예정인 필립 엥글린 CEO와 포스코경영연구원-WSD 교류 방안과 철강의 미래 경쟁력에 대한 심도 있는 토론을 할 계획이다.
     
    포스코경영연구원은 포스코그룹 최고경영진의 그룹 미래 전략 구상을 지원하고자 국내외 석학 등 외부 전문가를 초청하는 트렌드 캐치 세미나를 운영해 포스코그룹의 사업환경 트렌드 파악과 핵심 이슈에 대한 인사이트를 지속적으로 확보해 나가고 있다.
     

    • 조회수 : 437
    • 추천수 : 0
  • [친디아 플러스] vol.110

    [TCS 14] 통상 패러다임 전환과 기술패권 경쟁의 전략적 딜레마_정철 KIEP 선임연구원

    • 날짜2022.10.27

    '통상 패러다임 전환과 기술패권 경쟁의 전략적 딜레마' 주제로 제 14회 Trend Catch Seminar 개최 (22.10.27)


    지정학의 귀환과 함께 경제침체의 우려가 고조되는 가운데 그동안 세계 경제의 성장을 견인하여 온 세계화 흐름의 변화와 함께 글로벌 통상 질서도 변곡점을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글로벌 통상 패러다임의 변화와 경쟁은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와 기업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정철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선임연구위원을 초청해 국제 통상 패러다임의 방향에 대한 이해와 기술 패권경쟁 심화에 따른 영향 등에 대해 '통상 패러다임 전환과 기술패권 경쟁의 전략적 딜레마'를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
    ◈ 일자 :  2022년 10월 27일 (목) 

    ◈ 주제 :  통상 패러다임 전환과 기술패권 경쟁의 전략적 딜레마

    ◈ 발표자 : 정철 KIEP 선임연구위원
    ---------------------------------------------------------------------------------------------------------

    • 조회수 : 79
    • 추천수 : 0
  • [친디아 플러스] vol.110

    [TCS 13] 지주사 체계 M&A Play_Kearney 박시영 파트너

    • 날짜2022.09.30

    '지주사 체계 M&A Play ' 주제로 제 13회 Trend Catch Seminar 개최 (22.09.30)

    지주사 전환 이후 미래사업 포트폴리오를 개발하여 Multi-Core형 성장체제를 구축해야 하는 포스코 그룹에게 M&A는 큰 관심 분야가 아닐 수 없다.

    이에 '지주사 체계 M&A Play- 지주사 체계의 투자전략 및 지주사-계열사 間 투자 구조 운영 Strategy'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
    ◈ 일자 :  2022년 9월 30일 (금) 

    ◈ 주제 :  지주사 체계 M&A Play

                       - 지주사 체계의 투자전략 및 지주사-계열사 間 투자 구조 운영 Strategy

    ◈ 발표자 :  Kearney 박시영 Associate Partner
    ---------------------------------------------------------------------------------------------------------



     

    • 조회수 : 81
    • 추천수 : 0
  • [친디아 플러스] vol.110

    [TCS 12] Green Steel Making의 미래와 도전_손일 연세대 교수

    • 날짜2022.09.26

    'Green Steel Making의 미래와 도전' 주제로 제 12회 Trend Catch Seminar 개최 (22.09.26)

    포스코 철강전문교수와 철강협회 미래철강발전포럼 위원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미국금속재료학회지 편집장을 비롯 금속과 재활용 학술지에 편집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손일 교수는 공학한림원 회원으로 세계철강 탄소중립전략 수립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로 철강, 재활용, 수소제철분야의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고, 지금까지 국제 최고 수준의 학술지에 논문 130여 편을 출판하였고, 우리나라의 탄소중립 이행과 민간의 ESG 혁신에 기여한 공로로 2022년 과학정보통신인의 날에서 국무총리상을 수상한 바 있다.

    또한 연구 활동과 함께 현재 이차전지 재활용 기업인 ㈜ 알디솔루션의 대표이사로 활동하며 이차전지 건식제련 재활용 사업에도 이바지하고 있는 손일 교수를 초청해 'Green Steel Making의 미래와 도전 - Maintaining our Competitive Edge'를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
    ◈ 일자 :     2022년 9월 26일(월) 

    ◈ 발표자 :  손일 교수(연세대 신소재공학과)

    ◈ 주제  :      Green Steel Making의 미래와 도전 - Maintaining our Competitive Edge
     ------------------------------------------------------------------------------------------------------------------------

    • 조회수 : 58
    • 추천수 : 0
  • [친디아 플러스] vol.110

    [TCS 11] 블록체인과 NFT는 인터넷의 미래를 어떻게 바꾸는가 _김승주 고려대 교수

    • 날짜2022.09.23

    '블록체인과 NFT는 인터넷의 미래를 어떻게 바꾸는가' 주제로 제 11회 Trend Catch Seminar 개최 (22.09.23)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 사이버작전사령부 자문위원, 서울시 스마트도시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하였으며 다수의 저서와 논문 집필과 함께 공공 및 민간 분야에서 폭넓은 자문활동과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는 김승주 교수를 초청해 '블록체인과 NFT는 인터넷의 미래를 어떻게 바꾸는가'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
    ◈ 일자 :     2022년 9월 23일(금) 

    ◈ 발표자 :  김승주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 주제 :     블록체인과 NFT는 인터넷의 미래를 어떻게 바꾸는가     
     ------------------------------------------------------------------------------------------------------------------------

    • 조회수 : 74
    • 추천수 : 0
  • [친디아 플러스] vol.110

    [TCS 10] 대한민국을 만든 한국인의 조직문화_허태균 교수

    • 날짜2022.08.11

    '대한민국을 만든 한국인의 조직문화, 그 소통' 주제로 제 10회 Trend Catch Seminar 개최 (22.08.11)

    국내외 많은 기업들이 대내외 소통과 수평적 조직문화를 만들기 위해 많은 신경을 쓰고 있다. 소통 문화, 일하는 방식이 기업의 사업 성과까지 직간접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효율적 소통 방식, 건강한 조직문화 조성은 기업에게 큰 숙제일 수 밖에 없다.

    이에 한국인의 사회심리적 특성 연구를 통해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갈등의 원인과 사람들이 불행하다고 느끼는 이유를 날카롭게 진단해 주는  허태균 고려대 교수(심리학과)를 초청해 '대한민국을 만든 한국인의 조직문화, 그 소통'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
    ◈ 일자 :  2022년 8월 11일 (목) 

    ◈ 주제 :  대한민국을 만든 한국인의 조직문화, 그 소통

    ◈ 발표자 :  허태균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

    • 조회수 : 73
    • 추천수 : 0
  • [친디아 플러스] vol.110

    [TCS 9] 국내외 지주사의 운영 모델 사례_김도균 Bain & Company 파트너

    • 날짜2022.08.09

    '국내외 지주사의 운영 모델 사례와 포스코 시사점' 주제로 제 9회 Trend Catch Seminar 개최 (22.08.09)

    포스코 그룹은 올 3월 지주사 체제 출범과 함께 친환경 미래소재 대표기업으로서 지속가능한 미래를 열기 위해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기존 주력 사업인 철강과 함께 이차전지소재 및 수소, 친환경 인프라 등이 균형 성장하는 가운데 그룹 성장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홀딩스의 역할은 더욱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이에 Bain & Company 김도균 파트너를 초청해 '국내외 지주사의 운영 모델 사례와 포스코 시사점'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김도균 파트너는 서울 오피스의 파트너이며 산업재 부문의 리더로 자동차, 항공, 철강, 중공업 분야에서 한국 및 다국적 기업에 다양한 자문을 제공하고 있으며 전통적인 사업 전략에서부터 최근 디지털 및 혁신 전략에 이르기까지 전략 수립에 대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해오고 있다. 

    -------------------------------------------------------------------------------------------------------------------------
    ◈ 일자 :     2022년 8월 9일(화) 

    ◈ 발표자 :  김도균 Bain & Company 파트너

    ◈ 주제 :     국내외 지주사의 운영 모델 사례와 포스코 시사점     
     ------------------------------------------------------------------------------------------------------------------------

    • 조회수 : 80
    • 추천수 : 0
  • [친디아 플러스] vol.110

    [TCS 8] 탈탄소 철강 생산을 위한 용융 산화물 전기분해(MOE) 기술_Stephan Broek Boston Metal 기술 부사장

    • 날짜2022.08.03

    '탈탄소 철강 생산을 위한 용융 산화물 전기분해(MOE) 기술' 주제로 제 8회 Trend Catch Seminar 개최 (22.08.03)

    국제사회 및 주요국 정부가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각 부문별 탄소배출 저감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펼치고 있다.  철강산업의 경우 탈탄소 기술투자 확대, 에너지원 전환, 고객사 및 공급사 파트너십을 강화 등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노력을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특히 생산 공정에서의 배출 저감을 위한 혁신적인 기술 개발 및 발전에 대한 논의가 확대되고 있다.    

    이에 POSRI Trend Catch Seminar Series의 여덟번째 세미나로 Boston Metal의 Stephan Broek 기술 부사장을 온라인으로 연결하여 '탈탄소 철강 생산을 위한 용융 산화물 전기분해(MOE) 기술'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Boston Metal은 전기분해 방식을 통한 철강 생산에서의 제로 탄소배출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회사로 빌게이츠가 설립한 벤처펀드인 BEV를 비롯 Vale, BMW, BHP 등 글로벌 기업의 투자 유치에 성공하여 주목을 받은 바 있다. 

    -------------------------------------------------------------------------------------------------------------------------
    ◈ 일자 :  2022년 8월 3일 (수) 

    ◈ 주제 :  탈탄소 철강 생산을 위한 용융 산화물 전기분해(MOE) 기술    

                  (Introduction to the Molten Oxide Electrolysis (MOE) Technology for CO2-Free Ironmaking)

    ◈ 발표자 :  Stephan Broek / Boston Metal 기술 부사장
    -------------------------------------------------------------------------------------------------------------------------

    • 조회수 : 71
    • 추천수 : 0
  • [친디아 플러스] vol.110

    [TCS 7] 메가트렌드 분석, 산업분석, 경쟁자 분석 방법론_김도균 Bain & Company 파트너

    • 날짜2022.07.25

    '메가 트렌드 분석 및 시나리오 플래닝 방법론' 주제로 제 7회 Trend Catch Seminar 개최 (22.07.25)

    최근 글로벌 거시경제 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글로벌 경기침체와 함께 인플레이션 악화 우려가 고조되는 등 다수 하방 리스크가 동시에 발생하면서 기업의 사업환경에서의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있다. 

    기업 입장에서는 빠르게 변화하는 미래 거시적 환경과 리스크 요인들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 진단, 평가하고 이를 경영 의사결정에 반영하는 한편 대응 방향을 수립, 기업 경영전략에서의 '탄력성' '예측 가능성'을 제고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Bain & Company 김도균 파트너를 초청해 '국메가 트렌드 분석 및 시나리오 플래닝 방법론'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
    ◈ 일자 :     2022년 7월 25일(월) 

    ◈ 발표자 :  김도균 Bain & Company 파트너

    ◈ 주제 :     메가 트렌드 분석 및 시나리오 플래닝 방법론     
     ------------------------------------------------------------------------------------------------------------------------

    • 조회수 : 72
    • 추천수 : 0
  • [친디아 플러스] vol.110

    [TCS 6] 글로벌 위기와 세계경제 미래 패러다임_애덤 투즈(Adam Tooze) 콜롬비아대 교수

    • 날짜2022.07.15

    - 7월 15일 ‘2022년 글로벌 위기와 세계경제 미래 패러다임’ 주제로 제 6회 Trend Catch Seminar 개최


    포스코경영연구원(원장 고준형)은 7월 15일 애덤 투즈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님을 모시고 “2022년 글로벌 위기와 세계경제 미래 패러다임”이라는 주제로 제6회 Trend Catch Seminar를 개최했다. 

    애덤 투즈(Adam Tooze) 교수는 '19년 Foreign Policy 세계 100대 사상가로 선정된 세계적 석학으로 글로벌 위기에 따른 세계 경제영향을 분석한 베스트셀러인 셧다운('21), 붕괴('18), 대격변('14)의 저자이기도 하다.

    투즈 교수는 세계경제가 전례 없는 다중위기(Polycrisis)를 경험하고 있다며, 상호연결된 여러 위기가 동시다발적, 누적적, 연속적으로 발생하며 경기침체, 인플레이션, 식량부족 등의 위기를 증폭시키고 있다고 진단하였다. 다만 현재의 위기 상황을 과거와 단순 비교하는 것은 경계해야 하며, 과거 대비 금융 시스템 안정성의 향상으로 2008년 수준의 위기 상황 발생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또한 투즈 교수는 정부 정책보다 시장원리를 중시한 신자유주의(neoliberalism)가 금융위기, 팬데믹 등의 일련의 위기 대응에서의 한계를 보여줬으며, WTO, G20 등 국제 협력 체계가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며 글로벌 거버넌스 체계가 위기에 봉착했다고 주장했다. 과거와 달리 미국의 주도적이고 일관성있는 역할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내다보았으며 미국의 모든 전략이 '중국 견제'에 초점을 맞추며 미중 갈등 상황은 심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미중 패권 경쟁의 심화는 중국 의존도가 높은 공급망을 가진 한국, 독일과 같은 국가들에는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나, '탈세계화(deglobalization)' 가능성은 낮다고 언급하며 한국이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다중 위기를 경험했던 EU와 협력하면서 새로운 협력 사례를 만들어나아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포스코경영연구원 고준형 원장은 “러-우 사태, 팬데믹 등 일련의 위기 상황 속에서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가 고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글로벌 협력 체계가 한계를 드러내고 미중 갈등이 심화되는 등 불확실성이 높은 시기에, 글로벌 위기 전문가이자 세계적 석학이신 투즈 교수님을 모시고 향후 글로벌 경제 방향과 패러다임 변화에 대한 조언을 들을 수 있어 의미있는 시간이었다"고 말했다. 

    POSRI는 Trend Catch Seminar Series를 통해 국내외 석학 등 외부 전문가를 모시고, 포스코그룹의 사업환경 트렌드 파악과 핵심 이슈에 대한 인사이트를 지속적으로 확보해 나갈 예정이다.

    • 조회수 : 1,030
    • 추천수 : 0
  • [친디아 플러스] vol.110

    [TCS 5] 탄소중립 이행 리스크와 한국 철강부문 탄소중립 경로_엄지용 KAIST 교수

    • 날짜2022.07.14

    '탄소중립 이행 리스크와 한국 철강부문의 탈탄소 경로' 주제로 제 5회 Trend Catch Seminar 개최 (22.07.14)

    탄소중립 달성은 이 시대의 중요한 화두이자 정부는 물론 산업계에 중대한 도전과제가 되고 있다. 주요국을 중심으로 탄소배출 저감 정책이 강화되는 한편 기업들도 탄소배출 감축을 통한 친환경 경쟁력 제고 노력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한국 철강산업 및 포스코의 경우 탈탄소 기술투자 확대, 에너지원 전환, 고객사 및 공급사 파트너십을 강화 등 탈탄소화를 위한 노력을 강화하고 있으나 철강산업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선결되어야 할 정책적, 기술적 과제도 많은 상황이다.    

    이에 엄지영 KAIST 교수를 초청해 '탄소중립 이행 리스크와 한국 철강부문의 탈탄소 경로'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엄지용 교수는 지난 3월 발표한 '2050 탄소중립을 위한 한국 철강 부문의 탄소중립 경로' 보고서에서 다양한 시나리오 분석에 기반한 한국 철강 부문 탄소중립 경로와 향후 방향, 정책적 제언을 제시한 바 있으며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IPCC) 5차 평가보고서의 기여 저자이며 기후 및 탄소중립, 에너지, 전력 관련 정책 조언 등 기후 및 에너지 분야에서 가장 바쁜 학자이자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최고 전문가이다. 

    -------------------------------------------------------------------------------------------------------------------------
    ◈ 일자 :  2022년 7월 14일(목) 

    ◈ 주제 :  탄소중립 이행 리스크와 한국 철강부문의 탈탄소 경로    

    ◈ 발표자 :  엄지용 KAIST 경영대학 기술경영학부 교수 / KAIST ESG 최고경영자 과정 책임교수
    -------------------------------------------------------------------------------------------------------------------------

    • 조회수 : 86
    • 추천수 : 0
  • [친디아 플러스] vol.110

    [TCS 4] 지주회사 주가는 무엇으로 움직이는가_최남곤 유안타 애널리스트

    • 날짜2022.07.08

    '지주회사 주가는 무엇으로 움직이는가' 주제로 제 4회 Trend Catch Seminar 개최 (22.07.08)

    최근 국내 주요 지주사, 대기업들은 투자 계획을 잇달아 발표하고 있다. 성장잠재력을 키우는 한편, 시장에서 합당한 가치 평가를 받기 위한 노력이라 볼 수 있다.

    이에 지주부문 베스트 애널리스트인 최남곤 유안타증권 애널리스트를 초청해 '지주회사 주가는 무엇으로 움직이는가'를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
    ◈ 일자 :     2022년 7월 8일(금) 

    ◈ 발표자 :  최남곤 애널리스트(유안타증권 기업분석팀)

    ◈ 주제 :     지주회사 주가는 무엇으로 움직이는가?    
    ----------------------------------------------------------------------------------------------------------------------

    • 조회수 : 127
    • 추천수 : 0
  • [친디아 플러스] vol.110

    [TCS 3] 성공하는 M&A란 무엇인가_이혁진 Bain & Company 대표

    • 날짜2022.06.21

    - 6월 21일 ‘성공하는 M&A란 무엇인가’ 주제로 제 3회 Trend Catch Seminar 개최

    포스코경영연구원(원장 고준형)은 6월 21일 이혁진 Bain & Company 대표(글로벌 디렉터)를 초청해 “성공하는 M&A란 무엇인가”라는 주제로 제3회 Trend Catch Seminar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신기술 발달과 빠른 시장환경 변화, 경쟁 다변화로 수익을 동반한 지속적인 성장을 달성하기가 그 어느 때보다 어려운 상황에서 포스코그룹의 성장방식에 대한 고민에서 마련되었고, POSRI 고준형 원장, 포스코홀딩스 김영중, 한영아 팀장, 박정빈, 박영주, 박성진 담당과 포스코기술투자 임승규 사장, 안구영 실장 등 그룹사/POSRI 임직원 40여 명이 참석해 열띤 토론과 함께 진행되었다. 

    전세계적으로 매년 수천, 수만 건의 M&A 딜이 이뤄지고 있으나 자본비용보다 높은 이익을 주주에게 돌려주는 회사는 8% 수준에 이를 만큼, M&A 딜은 성장을 위해 필수적이면서도 동시에 실패확률이 높은 Paradox한 경영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혁진 대표는 성공적인 M&A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회사 전략과 사업전략, R&D 전략이 선행한 후 M&A 전략을 세워야 하고, 충분한 사전 연구를 통해 미리 후보리스트(Long List)를 가지고 있어야, M&A 매물이 나왔을 때 빠른 의사결정을 통해 성공적인 M&A가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꾸준히 딜을 하는 기업이 안정적 TSR(Total Shareholder Return)을 보였다며 M&A 성공의 비결로 빈도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꾸준한 deal은 M&A팀의 역량도 쌓이고 의사결정자의 M&A 판단이 좋아지며 시장의 인식도 좋아지는 측면이 있다는 것이다. 


    ▲포스코경영연구원이 6월 21일 포스코센터에서 이혁진 Bain & Company 대표를 초청해 '성공하는 M&A란 무엇인가'를 주제로 제 3제회 트렌드 캐치 세미나를 개최했다.

    포스코경영연구원 고준형 원장은 “경기급락, 비상경영 가능성이 제기되는 최근 상황에서 경기하락이 오히려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본다. M&A를 통해 낮은 가격에 좋은 기업을 인수할 수도 있고, 기업가치를 결정하는 인재와 기술을 얻을 수도 있다. 오늘 강연은 포스코홀딩스 및 사업회사에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시했다고 본다"고 말했다. 

    POSRI는 Trend Catch Seminar Series를 통해 국내외 석학 등 외부 전문가를 모시고, 포스코그룹의 사업환경 트렌드 파악과 핵심 이슈에 대한 인사이트를 지속 확보해 나갈 예정이다.
     

    • 조회수 : 780
    • 추천수 : 0
  • [친디아 플러스] vol.110

    [TCS 2]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글로벌 지정학 전망_윤영관 전 외교통상부장관

    • 날짜2022.05.18

    - 5월 18일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글로벌 지정학 전망’ 주제로 제 2회 Trend Catch Seminar 개최

    포스코경영연구원(원장 고준형)이 5월18일 윤영관 前 외교통상부장관을 초청해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글로벌 지정학 전망”을 주제로 제2회 Trend Catch Seminar를 개최했다.

    세미나는 고준형 포스코경영연구원장, 포스코인터내셔널 구경룡 식량소재본부장, 한성수 경영지원본부장과 포스코경영연구원 임직원 3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러-우크라이나 전쟁이 길어짐에 따라 미국, 유럽, 중국 등 주요국의 향배와 해외사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토론했다.

    윤영관 前 외교통상부장관은 러-우크라이나 전쟁은 장기전으로 진입할 것으로 보이며 에너지, 원자재 가격 상승과 글로벌 공급망 교란, 식량위기, 인플레이션 증폭 등 경제적 불안정이 증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미중 패권경쟁이 가치대결로까지 심화될 경우 신냉전으로 발전할 수 있으며, 기업이 비정치적일 수 있는 공간이 축소될 것이라고 보았다. 특히 중·러 등 권위주의 국가 내의 기업활동이 점점 어려워질 수 있어, 중장기 관점에서 새로운 지역에 대안적 시장과 투자처를 찾아야 하며 특히 인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5월 18일 포스코경영연구원이 윤영관 前 외교통상부장관을 초청해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글로벌 지정학 양상을 주제로 제 2회 트렌드 캐치 세미나를 열었다.

    고준형 포스코경영연구원장은 “미중 대립구조와 패권경쟁이 가속화되는 상황 속 러-우 전쟁의 영향과 미-EU-중의 삼각구도에 대한 의문이 많이 해소되었다. 또한 한국이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에 참여할 경우 미중 간 균형에 따른 국익의 향방 등 귀중한 혜안을 들을 수 있는 시간이었다.”고 말했다.

    포스코경영연구원은 트렌드 캐치 세미나에 국내외 석학 등 외부 전문가를 초청해 포스코그룹의 사업환경 트렌드를 파악하고 핵심 이슈에 대한 인사이트를 지속 확보해 나갈 예정이다.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
    조 바이든 행정부가 2021년 10월 제안한 경제 협력 구성체로, 인도와 태평양 지역이 디지털, 공급망, 청정에너지 등의 신통상의제 공동 대응을 목표로 한다. 중국 견제의 성격을 가지며 미국, 한국을 비롯해 일본, 호부, 뉴질랜드, 싱가포르 등이 참여를 검토중이다.
     
     
     

    • 조회수 : 846
    • 추천수 : 0
처음 목록 이전 목록 1 2 다음 목록 마지막 목록

POSRI
LOVE 지수

POSRI LOVE

39,693,044

내가 본 자료

/
TOP 열기/닫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