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검색결과 554
  • 제목순 제목순 위로 정렬 제목순 아래로 정렬
  • 등록일 등록일 위로 정렬 등록일 아래로 정렬
  • 조회순 조회순 위로 정렬 조회순 아래로 정렬
  • 추천순 추천순 위로 정렬 추천순 아래로 정렬
  • [친디아 플러스] vol.110
    • 경제
    • 글로벌 경제

    왜 글로벌 인플레이션은 금융시장의 기대만큼 빠르게 진정되지 않는가

    • 날짜2023.03.17
    • 글쓴이김영삼

    최근 국제 에너지 가격의 초강세 진정에도 불구하고 미국 등 주요국 인플레이션은 금융시장의 예상보다 느리게 둔화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글로벌 주요 국가들의 인플레이션 추이를 살펴보고, 인플레이션 둔화가 느리게 진행되는 원인에 대해 통계적 기법을 활용하여 파악해 보고자 한다.

    [Executive Summary]
    ○ 최근 국제 에너지 가격의 초강세 진정에도 불구하고 미국 등 주요국 인플레이션은 금융시장의 예상보다 더디게 둔화되고 있음
    ○ 이에 이 보고서는 주요 국가들의 요인별 인플레이션 추이를 살펴보고 인플레이션 둔화 속도가 금융시장의 기대보다 더딘 이유에 대해 통계적 기법을 활용하여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주요국의 인플레이션 초기에는 에너지, 식료품 가격 등 대외 요인이 물가 상승을 주도하였으나, 최근에는 서비스 등 내수 부문이 물가 상승을 견인
    ○ 주요국 인플레이션과 요인별 영향 시차를 분석한 결과 ’21~’22년 빠른 경기 회복세가 올해 인플레이션 향방에 많은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
    ○ 경기 변동과 물가 변동의 시차 등을 고려할 때 ’23년 中 글로벌 물가 수준은 장기 평균(또는 정책 목표) 대비 높은 수준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

    • 조회수 : 1,213
    • 추천수 : 1
    • 전문보기
  • [친디아 플러스] vol.110
    • 경제
    • 글로벌 경제

    중동에서의 美-中 경쟁과 중동의 대응(다극화 정책) 및 시사점

    • 날짜2023.02.22
    • 글쓴이서상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후 잊혀졌던 중동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이는 전쟁에 따른 고유가로 중동의 지정학적 중요성이 부상하면서 미-중 간의 중동에서의 경쟁도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중동 국가들 역시 지정학 중요성을 활용하여 안보와 경제에서 실리적인 이익을 위해 정책 다극화를 추진하는 등 대응하고 있다. 최근 중동에서의 미-중 경쟁과 이를 활용한 중동 국가들의 대응방안 등을 들여다보자.

    [목차]
    1. 중동에서의 미-중 경쟁
    2. 미국의 對중동 정책 
    3. 중국의 對중동 정책
    4. 중동의 대응 방안: 다극화 정책
    5. 시사점

    [Executive Summary]
    중국의 국제 영향력 부상으로 중동에서 미국은 영향력 축소, 반면 중국은 영향력 확대 등 양국 영향력 변화
    ○ 미국은 중국 영향력 확대 억지 위해 중동 전략 자산의 ‘아-태 지역’ 집중으로 중동 영향력 축소
    ○ 중국은 중동 최대 교역국이자 에너지 수입국으로 중동과의 경제 협력 확대 
    ○ 2022년 러-우 전쟁으로 중동 지정학 중요성이 커지자 미국은 중동 정책 재검토

    미국은 중동의 에너지 및 지역 안보 유지 위해 군사 협력에 중점 
    ○ 특히 최근 중동에서 영향력이 커지고 있는 중국과 이란 핵 개발 억지를 위해 카타르, 쿠웨이트, 바레인, 사우디 등 주요 국가들에 군사기지 유지 
    ○ 또한 중국의 일대일로 대응과 경제협력을 목표로 이스라엘, 인도, UAE, 미국 등 4개국은 ‘중동판 쿼드’인 ‘I2U2’를 결성 
    ○ 2022년 7월 바이든의 중동 순방을 계기로 미국은 그동안 관계가 악화된 이스라엘 및 사우디와의 관계 개선을 모색 중

    중국은 자국 에너지 안보 최우선 속 중동에서의 정치, 경제 영향력 확대 중 
    ○ 미국의 이라크 및 아프간 철수, 사우디 등 친미 국가들과의 관계 악화 틈새 공략을 통해 영향력 확대 
    ○ 중동 최대 교역국인 중국은 2021년 GCC+이란과의 무역액이 2,480억 달러로 미국의 4배에 달함 
    ○ 또한 중동은 유럽과 아프리카를 연결하는 일대일로의 주요 거점이자 최대 투자처로 부상

    중동은 기존의 친미 일변도에서 중국, 인도, 한국 등 아시아와 협력 강화 
    ○ 중동 국가들의 다극화 정책 주요인은 안보 확보로 미국에 전적으로 의존한 안보 공백 우려감이 커지고 있기 때문
    ○ 또한, 에너지 의존 경제의 취약성 탈피 및 산업 다각화 필요성 증대도 요인 

    중동 국가들의 아시아 중시 정책에 따라 한-중동 산업 협력 확대 기회
    ○ 2010년 이후 사우디 및 UAE는 산업 다각화 일환으로 한국과 경제협력 강화
    ○ 사우디와는 스마트 인프라(네옴시티 등), 수소 등의 사업 참여 기회가, UAE와는 수소, 보건(병원 건립), 스마트 팜 등의 사업 기회 모색 필요

    • 조회수 : 1,517
    • 추천수 : 5
    • 전문보기
  • [친디아 플러스] vol.110
    • 경영
    • 전략/재무

    투자 스타트업, 넥스트 유니콘 될까?...내재된 성장 DNA부터 남달라야

    • 날짜2023.02.08
    • 글쓴이이대상

    기업들의 스타트업 투자 열기가 고조되며 지난해 투자실적은 역대 최대 규모를 달성하였다. 그러나 투자 스타트업을 통한 미래기술과 신시장 확보에 거는 기대만큼 성공적 투자처 발굴과 육성은 어렵기만 하다. 이에 '유니콘' 스타트업 공통의 성장 DNA들을 살펴보고 기업들의 스타트업 발굴과 육성을 위한 시사점을 찾아보기로 한다.

    [Executive Summary]
    투자 열기는 고조되고 있으나, 기업들이 스타트업 투자에서 성공하기는 어려움
    ○ 미래 성장 동력 발굴에 대한 관심과 투자 본격화로 기업들의 스타트업 투자 규모 증가
    ○그러나 스타트업 투자(지분 투자·M&A)를 통한 기업들의 신사업 성공률은 높지 않음

    스케일업 잠재력을 갖춘 투자 대상 발굴이 가장 중요한데, 유니콘으로 성장한 스타트업들이 보편적으로 갖추고 있는 성장 DNA를 살펴보면,
    ○ 業(비즈니스 모델): 고객 니즈를 ‘정조준’하는 디지털 플랫폼 기반 사업 모델 구체화
    ○ 場(시장·산업): 큰 배후 시장·성장산업·진입 타이밍의 삼박자 조화
    ○ 人(창업팀): 연쇄 창업자와 다양한 백그라운드의 고학력 멤버들로 팀 구성

    또한, 투자 이후 성공적 파트너십 유지를 위한 노력도 간과해서는 안 됨
    ○ 어렵고 긴 의사 결정, 불투명한 기대 등 현실 이슈 봉착으로 허니문 기간은 길지 않음
    ○ Win-Win 할 수 있는 파트너십의 공통분모를 찾는 것이 과제

    • 조회수 : 1,853
    • 추천수 : 0
    • 전문보기
  • [친디아 플러스] vol.110
    • 경영
    • 경영일반

    2023년 ESG 10대 트렌드 전망

    • 날짜2023.01.25
    • 글쓴이유현주

    ESG에 대한 여론은 최근 몇 년간 업앤다운을 경험했다. ESG는 '19년 BRT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선언과 '20년 블랙록 CEO의 연례서한을 통해 급부상하였으나, '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그 실효성과 현실성에 의문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실제 ESG는 '비즈니스와의 철저한 통합과 실질적 변화'라는 하나의 방향성에서 진화해 왔다. 최근 주요 국가들과 투자자, 산업계가 내놓은 정책과 규제, 이니셔티브들이 더 넓은 범위에서, 더 강도 높은 ESG 이행을 요구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에, 최근 ESG 동향을 기반으로 '23년 ESG 트렌드를 예측해봄으로서 기업이 '실질적 ESG 시대'의 서막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 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목차]
    1. 들어가며
    2. 글로벌 ESG 공시 표준화 대비
    3. 공급망 ESG 리스크 대비
    4. 비즈니스의 친환경 수준 식별
    5. ESG 관련 분쟁 경계
    6. ESG Washing 모니터링 강화
    7. 이사회의 실질적 역할과 책임 강조
    8. ESG 혁신을 통한 기업의 실익 추구
    9. 기후변화 Loss & Damage 주목
    10. Next Carbon 이슈 제기
    11. ‘Social’의 중요성 부상
    12. 종합 및 시사점

    [Executive Summary]
    ’23년에는 정부와 투자자를 중심으로 ESG 관련 규제가 가속됨에 따라 기업의 ESG 수준에 대한 객관적 식별 및 평가가 용이해질 것으로 예상됨
    ○ (글로벌 ESG 공시 표준화 대비) ESG 이행 체계 마련 과정과 적용 로직에 대한 관리, Peer Group 수준을 감안한 상대적 성과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됨
    ○ (공급망 ESG 리스크 대비) 협력사 특성과 관계별 ESG 리스크 노출도에 대한 관리와 상품 全 생애 주기 지속가능성이 중요해질 것으로 전망됨
    ○ (비즈니스의 친환경 수준 식별) EU 택소노미 공시 본격화는 비즈니스 포트폴리오와 ESG의 통합을 촉진시킬 것으로 전망됨
    ○ (ESG 관련 분쟁 경계) ESG 관련 소송에 대한 Litigation Funding Firm의 참여 증가, ESG에 우호적인 법원 선례 축적 등 원고에 유리한 ESG 분쟁 환경이 형성됨

    또한, 실질적 ESG 성과 창출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ESG의 내실 확보가 비즈니스 경쟁력으로 주목받게 될 것으로 전망됨
    ○ (ESG Washing 모니터링 강화) ‘에너지’ 중심에서 ‘소비 행동 관련 정보’로 그린워싱의 적용 범위가 확장될 것으로 예상되며, 구체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ESG 워싱에 대한 논의가 더욱 확산될 것으로 전망됨
    ○ (이사회의 실질적 역할과 책임 강조) ESG위원회의 실효성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관심과 모니터링이 증가함에 따라 이사회의 실질적 역할과 책임이 강조되는 추세임
    ○ (ESG 혁신을 통한 기업의 실익 추구) ESG 기반 기술 기업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ESG 기반 기술이 새로운 성장 모멘텀으로 부각되고 있음

    ESG 관리 영역도 탄소 중심의 접근에서 Next Carbon 이슈, 소셜 이슈, 물리적 리스크 대응 등으로 확장될 것으로 예상됨
    ○ (기후변화 Loss & Damage 주목) 기후변화 심화에 따라 기업의 물리적 리스크 대응을 위한 기업 자산 및 사업장 대비책 마련이 중요해질 것으로 보임
    ○ (Next Carbon 이슈 제기) 생물다양성 리스크에 대한 사업적 대응과 적응, Water Risk 관리 등 탄소 외 환경 이슈가 부상하고 있음
    ○ (‘Social’의 중요성 부상) 환경 영역 주도의 책임 투자가 사회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비즈니스 연계 소셜 이슈의 중요성도 부각되고 있음

    ’23년은 ESG의 변곡점으로서 많은 변화가 예상되는 바, 기업은 단기적인 점수가 아닌 장기적인 실력을 쌓는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준비하고 대응하는 것이 필요함

    • 조회수 : 4,345
    • 추천수 : 17
    • 전문보기
  • [친디아 플러스] vol.110
    • 철강
    • 철강일반

    팬데믹 이후 메가트렌드와 미래 철강산업

    • 날짜2023.01.11
    • 글쓴이고준형

    글로벌 철강산업은 팬데믹 이후, 4대 분야에서 패러다임 변화로 새로운 시대로의 전환기에 서 있으며 산업의 변곡점을 경험하고 있다. 기후변화 가속화, 탈탄소 기술혁신, 고령화/디지털화 등 사회/경제적 변화, 지정학 불안에 따른 에너지/공급망 재편이 그 변화 동인이다.

    소재로서 철강은 친환경 건설, 신모빌리티, 그린 에너지 인프라 공급에 있어서 미래에 가장 중요한 소재로 거듭날 것이며, 이 모든 변화는 세계 경제활동의 75%를 상회하는 도시 발전을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수소 기반의 그린철강의 공급과 전 밸류체인에 걸친 순환성(recyclability)을 기반으로 철강은 미래에도 가장 지속가능한 소재로 인류 사회에 기여할 것이다.

    [목차]
    1. Intro and framework 
    2. Post-pandemic landscape of the globe
    3. Future of urban development
         – Urban construction
         – Urban Mobility
         – Urban Energy
    4. Future of steelmaking technology and raw material requirement
    5. Vision and agenda for a sustainable and resilient global steel industry

    [Executive Summary]
    1] 팬데믹 이후의 패러다임 (Post-pandemic landscape of the globe)
    ○ 4대 메가트렌드는 미래 사회∙경제에 지속적인 빅 체인지를 유발할 것임
     - (기후변화) 경제∙산업구조 변화를 넘어 글로벌 기술패권과 역학관계 변화 초래
     - (기술혁신) 혁신기술은 소재와 에너지를 클린화하고 재순환해 탈탄소 실현
     - (사회경제적 변화) 고령화, 신세대의 사회내 경제적 영향력 증대 
     - (지정학적 리밸런싱) 글로벌 공급망, 탄소가격시스템, 교역구조 전환 예상
        → 메가트렌드는 도시/모빌리티 진화를 통해 미래 철강산업의 구조변화 영향

    2] 도시발전의 미래 (Future of urban development)
    ○ 도시 진화는 에너지, 인프라, 모빌리티 허브로서 저탄소 기조가 강화되면서 그린건축, 분산전원, 친환경모빌리티 중심의 미래 철강수요의 양적/질적 변화의 모멘텀이 될 전망
     - (건설) 친환경 니즈 강화, 디지털 3D 기술, 친환경 합성소재 수요 증가, 철강수요 메인 드라이버 역할
     - (모빌리티) 친환경/편의/안전 니즈, UAM(urban air mobility), Hyperloop/퍼스널 모빌리티 신규 수요
     - (에너지) 분산전원의 집적화, 신재생에너지/수소 생태계 인프라 창출로 철강 수요 확대

    3] 철강기술의 미래 (Future of steelmaking technology & metallic balance)
    ○ 탈탄소 기술발전은 가속화되면서 현재 주류 제법들이 대체, 전환될 전망
     - 철강업 탄소중립 경로: 프로세스 최적화(~’30) → 탄소감축 가속화(~’50)
     - 철강업 미래 경쟁우위는 연원료 저가소싱과 에너지효율 설비 확보에 좌우
    ○ 수소 기반의 청정 철강제법 전환으로 철원 밸런스도 중장기적으로 큰 변화
     - 선철 수요는 감소세로 전환 반면, 철스크랩과 직접환원철 수요는 큰 폭 증가
    ○ 자원순환 경제와 지정학적 재편에 대응해 철강재의 안정적 공급 중요
     - 철강업내 포함 전후방 Value Chain에서 자원순환성(circularity) 확보 관건
     - 지정학∙지경학적 변화를 뛰어넘어 미래 안정적인 철강 공급망 유지 필요 
    ○ 한편, 디지털전환 확산으로 철강 제조(자동화 → 디지털 트윈) 및 철강 Biz. 프로세스 (마케팅, 물류 등 실제업무의 가상화)에도 혁신적으로 적용

    4] 비전과 아젠다 (Vision and agenda for global steel industry)
    ○ (비전) 미래 철강산업은 친환경소재를 제공해 인류 사회의 지속적인 성장에 기여해야 하며 비전 달성을 위해 4대 분야의 노력을 경주할 필요
    ① Growing along the market, ② Material solution provider, ③ Smart & digital manufacturer, ④ Carbon neutral ecosystem
    ○ (2050년 철강산업 미래상) 제로에너지 빌딩, 그린 모빌리티, 신재생에너지 인프라 등 미래 도시에서 필요한 자원순환적이고 친환경적인 철강 소재의 중요성은 미래에도 계속될 것임

    • 조회수 : 2,796
    • 추천수 : 8
    • 전문보기
  • [친디아 플러스] vol.110
    • 경영
    • 경영일반

    갈수록 커져가는 CSO의 역할

    • 날짜2022.12.28
    • 글쓴이사동철

    최근 ESG 경영의 본격화에 따른 ESG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을 기업들이 인식하면서 최고지속가능경영책임자(CSO) 선임이 빠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PwC 조사 결과, CSO를 보유하고 적극 활용한 기업의 ESG 성과와 경쟁력이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향후 지속가능경영이 기업의 생존 유지를 위한 비즈니스 전략의 핵심이 되면서 CSO의 역할과 위상도 더욱 중요해지고 커질 것으로 보인다.

    [Executive Summary]
    ○ ESG 경영의 본격화에 따른 ESG 관련 리스크 증대로 리스크 관리가 중요해짐에 따라 최고지속가능경영책임자(CSO)의 역할과 위상이 커지고 있음. 이는 CSO가 ESG 경영을 위한 비즈니스 전반에 대한 전략 수립과 의사 결정 과정에 참여해야 하기 때문임
    ○ PwC가 1,600여 개 글로벌 기업을 대상으로 한 서베이 결과는 1) CSO를 C 레벨에서 선임한 기업 수가 5년 전에 비해 3배 이상 증가하였고, 2) CSO를 보유하고 적극 활용한 기업의 ESG 성과와 경쟁력이 그러지 않은 기업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3) CSO의 활동은 산업별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소비자와 접점을 이루고 있고 탈탄소화에 주력해야 하는 산업에 속한 기업들에서 CSO의 활동이 활발하게 나타남
    ○ 향후 지속가능경영이 기업의 생존 유지를 위한 비즈니스 전략의 핵심이란 점을 감안하면 CSO의 역량과 역할, 그리고 위상은 더욱 중요해지고 커질 것임

    • 조회수 : 2,646
    • 추천수 : 2
    • 전문보기
  • [친디아 플러스] vol.110
    • 경영
    • 경영일반

    미래를 보는 전략 vs. 과거를 보는 문화, 간극과 해법

    • 날짜2022.12.14
    • 글쓴이민세주

    미래를 향한 전략을 추진하려면 조직 내 변화가 불가피한데, 문화는 과거를 바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전략과 맞지 않는 부분이 있을 수 있다. 8가지 문화유형 프레임워크를 통해 정확한 조직문화를 진단하여 전략-문화간 격차를 파악하고 이에 맞는 적절한 변화관리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대적인 변화관리 이니셔티브를 추진하기보다는 키스톤 행동(Key Stone)을 발굴하여 개선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Executive Summary]
    ○ 회사가 수립한 전략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조직 문화에 맞는 실행 전략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회사의 조직 문화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전략과 문화의 잠재적 간극을 정확히 파악해야 함
    ○ 조직 문화는 회사의 일상 업무에 적용되는 조직원들의 태도와 행동을 나타내는 암묵적인 사회적 규칙이며, 변화에 대한 반응과 구성원 간 상호작용에 따라 크게 8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
    ○ 전략-문화 간극 해소를 위해서는 대대적인 변화 관리 이니셔티브를 추진하기보다, 직원들이 자부심을 가지는 문화적 요소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전략과 연계하거나 ‘키스톤 행동(Keystone Behavior)’ 1~2가지를 발굴하여 개선하는 것이 효과적임

    • 조회수 : 3,038
    • 추천수 : 4
    • 전문보기
  • [친디아 플러스] vol.110
    • 산업
    • 에너지/소재

    유럽 기업의 에너지 위기 대응 및 시사점

    • 날짜2022.11.28
    • 글쓴이조윤택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유럽의 천연가스 부족으로 인한 에너지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산업계는 생산 차질과 비용 문제 등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위기를 넘어서기 위해 힘쓰고 있는 에너지, 철강 및 자동차 기업의 대응을 들여다 보자.

    [목차]
    1.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에너지 위기
    2. 기업 환경 변화
    3. 유럽 기업의 에너지 위기 대응
    4. 시사점

    [Executive Summary]
    2000년대 초반 이후 러시아의 파이프라인 가스 공급 문제에 따른 위기를 경험한 유럽은 지난 2월 러-우 전쟁 이후 에너지 위기에 직면
    ○ 러시아는 가격 경쟁력과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유럽에 대한 가스 수출을 확대했으며, 유럽의 러시아 가스 의존도는 점차 심화
    ○ 러시아의 가스 공급 중단/축소는 유럽 내 에너지 가격 급등으로 이어졌으며, 특히 가스 수요가 많은 겨울철 글로벌 에너지 위기(Energy Crisis) 전이 가능성까지 우려

    유럽은 러시아 의존을 탈피하기 위한 정책을 수립·강화하고 있으며, 에너지 가격 급등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및 경기 침체로 산업계는 곤경에 처함
    ○ [에너지/기후 정책 변화] 에너지 공급망 다각화, 수요 절감 및 재생에너지·수소 육성 강화를 추진 중
    ○ [경기 침체 및 생산 차질 위험] 특히 헝가리, 체코, 이탈리아, 독일 등이 타격을 받을 것으로 전망되며, 대부분의 산업에서 생산 축소, 비용 상승 등 어려움을 겪고 있음

    가스 부족에 따른 수급 차질 및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산업계의 기반이 흔들리는 가운데, 기업들은 생존을 위해 다양한 대응 방안을 모색
    ① 정부 재정에 의존하여 국유화로 재편: Uniper(獨), EDF(佛) 등 전력∙가스 기업
    ② 화석연료 활용 연장 또는 선제적 확보: 폭스바겐, Voestalpine(오스트리아) 등
    ③ 가스를 대체할 재생에너지 확보: BMW, 메르세데스-벤츠 등

    기존 에너지 시스템은 지난 수십 년 동안 만들어진 형태로 탄소 중립과 에너지 전환이라는 시대적 명제가 있지만 기업을 포함한 소비자가 감내할 수 있도록 단계적인 변화가 요구됨
    ○ 유럽의 제조업은 급등한 전기∙가스 가격뿐만 아니라 탄소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상황으로 해외 이전까지 고민하는 단계에 이름
    ○ 유럽이 에너지 위기에 빠진 것은 특히 러시아에 대한 가스 의존이 과도했기 때문으로 기업도 특정 에너지원에 의존하는 것은 지양할 필요

    • 조회수 : 2,963
    • 추천수 : 12
    • 전문보기
  • [친디아 플러스] vol.110
    • 경영
    • 경영일반

    미디어가 주목하는 ESG 임팩트 창출 사례 10선

    • 날짜2022.11.09
    • 글쓴이민세주

    최근 ESG 경영이 사회적으로 주목받으면서 많은 기업들이 ESG 측면의 임팩트 창출을 고민하고 있다. 지속가능성을 위한 선한 움직임(Movement)에 주목한 '2022 칸 라이언즈'의 주요 수상작들을 소개함으로써, 기업 차원의 ESG 임팩트 창출 접근법과 확산 방안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목차]
    1. 기업의 Purpose와 임팩트에 주목한 칸 라이언즈
    2. 온실가스 저감에 주력하는 Dole과 P&G
    3. 기후변화 예방에 노력하는 Suncorp과 Unilever
    4. 건강·위생 개선에 힘쓰는 매일유업과 Maxx Flash
    5. 다양성(Diversity) 증진에 집중한 Google과 닷(DOT)
    6. 건전한 IT 활용에 앞장서는 Dove와 삼성전자

    [Executive Summary]
    ‘칸 라이언즈 국제 크리에이티브 페스티벌’(舊 칸 광고제)은 단순 광고를 넘어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선한 움직임(Movement)을 유도하려는 기업·단체 차원의 캠페인을 다룬 영상 중 우수 작품을 선정하는 글로벌 행사임
    ○ 2022년 칸 라이언즈 수상작 중 환경(E)과 사회(S) 측면 주목받은 작품을 소개

    온실가스 저감에 주력하는 Dole과 P&G
    ○ 식품 및 음료 회사인 돌(Dole)은 파인애플 농장에서 버려지는 잎을 활용해 식물성 가죽 소재인 피냐텍스(Piñatex) 생산
    ○ 글로벌 생활용품 기업 P&G는 찬물에서도 세탁 효과가 우수한 신제품 세제 타이드(Tide)를 개발하여 세탁 과정에서 발생하는 CO2 감축에 기여

    기후변화 예방에 노력하는 Suncorp과 Unilever
    ○ 호주·뉴질랜드 지역 손해보험 기업인 Suncorp Group은 이상기후로 인한 자연재해를 최소화하도록 주택 건설 방식을 개선하는 프로젝트를 진행
    ○ 유니레버는 자사 제품의 플라스틱 용기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를 줄이기 위해 기존 용기에 제품을 리필해주는 스마트 필(Smart Fill) 사업을 전개

    건강·위생 개선에 힘쓰는 매일유업과 Maxx Flash
    ○ 매일유업은 혼자 생활하는 어르신의 안부를 묻는 후원 사업에 참여하며 어르신 고독사를 예방하기 위한 ‘우유안부(Greeting Milk)’ 캠페인 전개
    ○ 인도의 모기향 브랜드 Maxx Flash는 모기로 인한 전염병 예방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해 제품이 들어있는 포장재에도 유충 박멸 기능을 추가하여 디자인

    다양성(Diversity) 증진에 집중한 Google과 닷(DOT)
    ○ 구글은 유색인종의 피부색을 제대로 보여줄 수 있게 스마트폰 카메라 기술을 개선(Real Tone 기술)하여 인종에 대한 편견과 차별을 없애고자 노력
    ○ 국내 스타트업 닷(DOT)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세계 최초의 점자 스마트패드 제품을 출시하여 배리어 프리(barrier-free) 세상을 만드는 데 기여

    건전한 IT 활용에 앞장서는 Dove와 삼성전자
    ○ 비누 브랜드인 도브(Dove)는 많은 십대 소녀가 소셜미디어 피드에서 수많은 해롭고 위험한 미용 관련 조언(Toxic Beauty)들을 접하게 되는 문제를 지적
    ○ 삼성은 퀘스트 형태의 게임을 하는 어린이들이 글자를 해석하고 보이는 반응을 분석하여 소아 난독증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하였음
    각 사의 핵심 비즈니스 역량과 연계되었을 때, 다양한 소셜 임팩트를 창출하여 사회에 기여할 수 있음

    • 조회수 : 3,717
    • 추천수 : 3
    • 전문보기
  • [친디아 플러스] vol.110
    • 경영
    • 경영일반

    낀 세대(X 세대)의 자존감을 높이자

    • 날짜2022.10.26
    • 글쓴이조성일

    기업의 중간관리자인 X 세대가 '낀 세대'라는 이름으로, 위로는 베이비 붐 세대, 아래로는 MZ 세대로부터 푸대접을 받고 있다. 이로 인해 X 세대는 자존감의 하락뿐만 아니라 일에 대한 동기부여도 저하되고 있다. 그러나, X 세대는 아날로그 시대에서 디지털 시대로 넘어오는 격변기를 겪어낸 최초의 세대이며, 이런 배경에서 새롭고 합리적인 것에 대한 수용도가 높은 집단이다. 이들을 상대적 박탈감으로부터 벗어나게 하기 위해서는 우선 그들에게 관심을 가져야 한다.

    [Executive Summary]
    기업의 중간 관리층(X 세대)이 무너지고 있다는 위기감이 부상
    ○ X 세대는 前 세대인 베이비붐 세대에게는 ‘철없는 어른’이라는 비아냥을 들으며 제대로 인정받지 못했고, 後 세대인 MZ 세대에게는 ‘꼰대’ 소리를 듣는 상황임
    X 세대 추락의 핵심 원인은 ‘상대적 박탈감’
    ○ X 세대는 아날로그 시대에서 디지털 시대로 넘어오는 격변기를 겪어낸 최초의 세대이며 이런 배경에서 새롭고 합리적인 것에 대한 수용도가 높은 특성 보유
    ○ 그러나, 회사에서는 위에서의 압박과 자신들을 꼰대 취급하는 후배들을 관리해야 하는 이중고, 과중한 업무 대비 상대적으로 적은 승진 등으로 자존감 하락
    X 세대를 위한 동기 부여는 먼저 이들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
    ○ 지금까지는 위, 아래 세대 어느 누구도 그들에게 공감해주는 이들이 없었음
    ○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이해하려는 노력만으로도 그들의 고충은 상당 부분 해소 가능

    • 조회수 : 3,899
    • 추천수 : 12
    • 전문보기
  • [친디아 플러스] vol.110
    • 경영
    • 경영일반

    ESG 경영, Digital로 가치를 더하다

    • 날짜2022.10.14
    • 글쓴이정이선

    ESG와 Digital Transformation은 지속가능한 경영에서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자 핵심 전략으로 꼽히고 있다. 최근 다수의 글로벌 기업들이 두 전략을 결합하여 실행함으로써 시너지를 확보하고 있는데, 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분야에서 디지털 혁신에 성공한 기업들을 들여다보고 우리 기업이 우선순위로 삼을만한 혁신의 분야를 조명해 본다. 

    [Executive Summary]
    ○ 최근 기업 경영의 주요 전략 키워드인 ESG와 Digital Transformation은 개별 전략 이기도 하나 다수의 글로벌 기업들은 Digital ESG 경영으로 시너지를 창출하고 있음
    ○ [Environmental] Nestlé는 AI를 활용한 원료 채굴 모니터링으로 산불 발생 여부, 삼림 훼손 여부 등을 감시하여 삼림벌채의 투명성을 보장함
    ○ [Social] Volvo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책임 있는 공급망 네트워크를 도입함으로써 윤리적인 원자재를 공급하는 감시 시스템을 마련함
    ○ [Governance] Heineken은 내부 감사 진행 시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등의 기술을 적용하여 효율성을 확보함으로써 내부감사를 강화함
    ○ 효율성이 낮은 분야, 높은 투명성이 요구되는 분야에서부터 디지털 툴을 활용하고, 기업환경에 맞추어 내재화함으로써 한 단계 진화한 ESG 경영을 추구할 필요가 있음

    • 조회수 : 3,648
    • 추천수 : 1
    • 전문보기
  • [친디아 플러스] vol.110
    • 경영
    • 인사조직

    해로운 문화(Toxic culture)의 해법, 결국은 관계가 답이다

    • 날짜2022.09.28
    • 글쓴이조성일

    '21년 미국에서부터 시작된 大 퇴직(Great Resignation)은 코로나 팬데믹 등의 영향으로 인한 비자발적 퇴직이 아니라 자발적 퇴직이라는 것이 이슈였다.
    왜 직원들은 힘든 시기에 과감히 이직을 선택한 것일까? 그 가장 큰 이유가 해로운 문화(Toxic culture)에 있었음이 밝혀졌다. 과연 해로운 문화가 무엇이고, 이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다같이 고민하는 시간을 가져보자.

    [Executive Summary]
    ○ 미국에서는 ’21년부터 大 퇴직(Great Resignation)이 유행
    - 미국은 ’21.1월부터 10월까지 3,900만 명의 노동자가 자진 퇴사 했는데 특히, ’21.8월의 430여 만 명 퇴직은 노동 통계 집계 이후 월간 최고 수치였음
    ○ 大 퇴직의 핵심 원인은 ‘해로운 문화’로 밝혀짐
    - 해로운 문화란 ‘학대하는 리더십(abusive leadership)’, ‘파괴적인 분위기(cutthroat environment)’, ‘차별(discrimination)과 희롱(harassment)’이 만연하는 문화로 정의
    - 美 MIT대학의 도널드 설(Donald Sull) 교수팀의 연구 결과, 퇴직 원인은 ‘해로운 문화 > 직무 불안정과 조직 개편 > 고강도 혁신’ 등의 순으로 나타남 
    ○ 건강한 조직 문화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구성원 간 관계에 집중할 필요
    - 맥킨지의 조사에 따르면, 직원은 ‘관계적 요인(소속감, 신뢰, 배려 등)’을 중시하나, 경영진은 ‘거래적 요인(보상, 성장 기회 등)’을 중시

    • 조회수 : 3,603
    • 추천수 : 5
    • 전문보기
  • [친디아 플러스] vol.110
    • 철강
    • 마케팅/통상

    메타버스 마케팅, 성공을 위한 요건은?

    • 날짜2022.09.14
    • 글쓴이정이선

    씨티그룹에서 메타버스의 경제 규모가 ‘30년까지 최대 U$13조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는 등 메타버스의 가치창출의 기회가 더욱 커지고 있다. 마케팅의 궁극적인 목적은 메타버스 세계와 오프라인 세계가 크게 다르지 않지만, 전혀 다른 환경인 디지털 현실 속에 소비자들을 효과적으로 참여시키기 위해서는 새로운 방식의 마케팅이 필요하다. 메타버스 마케팅, 플랫폼 찾기에서부터 수익성 창출과 리스크까지, 성공을 위한 요건은 무엇일까.

    [Executive Summary]
    ○ ‘21년 메타버스 관련 기업들의 자금 조달액은 U$100억 이상으로 전년보다 2배 이상 증가함. 메타버스의 가치 창출 기회가 더욱 커지는 시점에 기업들은 미래 소비자들을 공략하기 위해 메타버스를 통한 마케팅을 시도하며 선점 기회를 엿보고 있음
    ○ 메타버스 마케팅에서 핵심 가치는 고객에게 전달하는 진정성과 재미있는 경험으로, 일반적인 마케팅의 가치와 크게 다르지 않음
    ○ 다만, 명확한 목표 설정, 적합한 플랫폼 선정, 몰입도 높은 경험 제공, 수익성 창출 테스트, 사전 리스크 점검 등 마케팅에서 새롭게 고려해야 할 요소들이 있음
    ○ 기업들은 메타버스 마케팅을 도입하는 시점에, 장기적인 발전 관점에서 가상 제품 판매, 브랜드 자산, 리스크에 대한 책임, 데이터 보호 등을 함께 고민해야 함. 이를 기반으로 혁신적인 마케팅을 통하여 메타버스에서의 영역을 점차 늘려 나갈 때 기업들은 디지털 현실에서 더욱 풍부한 기회를 맞이하게 될 것

    • 조회수 : 3,973
    • 추천수 : 2
    • 전문보기
  • [친디아 플러스] vol.110
    • 경제
    • 글로벌 경제

    러-우크라이나 전쟁과 글로벌 식량 안보 위기

    • 날짜2022.08.31
    • 글쓴이서상현

    러-우크라이나 전쟁이후 식량가격 폭등으로 아프리카와 남아시아 등 개발 도상국을 중심으로 식량 안보 위기가 심화되고 있다. 2022년 7월말 기준 농산물 물가지수는 올 초 대비 19%나 상승하였으며 전 세계 인플레이션을 유발하고 있다.
    한국은 곡물 자급율이 20%에 머무는 등 해외로부터 곡물을 수입해야하는 상황으로 식량안보에 취약하다. 따라서 식량 안보를 위해 곡물의 안정적 공급원 확보와 곡물 비축제도 운영 등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목차]
    1. 점증하는 글로벌 식량 안보 위기
    2. 식량 안보 위기 요인 
    3. 국제 식량 가격 동향
    4. 시사점

    [Executive Summary]
    러-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아프리카·남아시아 등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많은 국가에서 식량 안보 위기가 심화되고 있음
    ○ 글로벌 식량 공급 전망은 양호하지만, 우크라이나 전쟁이 예상보다 장기화되고 이로 인한 공급망 차질과 높은 투입 가격으로 식량 가격이 급격히 상승
    ○ ’22.7월 말 기준 글로벌 농산물 물가지수는 ’22.1월 대비 19% 상승했으며 인플레이션 역시 전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 유지 
    ○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24년 말까지 높은 수준의 가격 유지로 식량 공급 불안정과 물가 불안을 야기시킬 전망 

    최근의 식량 위기는 국가 간 분쟁과 기후변화 그리고 코로나 19와 같은 질병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고 있음 
    ○ 특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밀·옥수수 등 곡물의 국제 가격을 2008년 이후 최고 수준으로 급등시킴 
    ○ 또한 기후변화는 엘니뇨 및 라니냐 현상 등을 빈번하게 발생시켜 주기적인 가뭄과 홍수 등 자연재해로 농작물 수확에 큰 피해를 초래
    ○ 이 밖에 최근 에너지 및 비료 가격 상승도 식량 가격 상승의 주요인으로 작용

    그러나 최근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 재개, 경기 위축 우려로 곡물가 급락 
    ○ 7월 식량가격지수는 전월 154.3포인트에서 140.9포인트로 하락했으며, 지난 3월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4개월 연속 하락세 
    ○ 곡물가격지수 역시 6월 166.3포인트에서 7월 147.3포인트로 하락. 밀의 경우 북반구 수확 개시, 캐나다·러시아 등의 생산량 개선 전망, 세계적 수입 수요 둔화 등으로 하락 

    곡물 가격 급락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인 식량 부족 문제 해결은 아님 
    ○ 단기적으로는 우크라이나 전쟁 지속, 중장기적으로는 엘니뇨 및 라니냐와 같은 기후변화 문제와 경기 침체에 따른 농업 부문 투자 감소로 식량 부족 지속 전망

    ‘20년 기준 한국은 곡물 자급률 20.2%, 식량 자급률 45.8%로 OECD 국가 중 식량 해외 의존도가 가장 높은 국가 중 하나임
    ○ 따라서 식량 안보 강화를 위해 ①해외 조달 시스템 구축으로 안정적 공급원 확보, ②식량 자급 능력 제고를 위한 국내 생산 기반 확충, ③쌀 이외 주요 곡물에 대한 식량 재고 비축 제도 운영 등 대책 마련 필요

    • 조회수 : 4,550
    • 추천수 : 6
    • 전문보기
  • [친디아 플러스] vol.110
    • 경영
    • 경영일반

    비즈니스 속의 다양성과 포용성(D&I)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 날짜2022.08.19
    • 글쓴이유현주

    다양성과 포용성(Diversity & Inclusion, D&I)은 조직 구성원의 역량 극대화 차원에서 그 중요성이 널리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D&I는 인사 관리에 국한된 테마가 아니라, 비즈니스의 다양한 측면과 연결된 테마이기도 하다. 비즈니스 차원에서 D&I가 지닌 의미를 조명해봄으로써 기업경영에 D&I를 내재화해야 하는 구체적인 단서를 찾아보자.

    [목차]
    1. D&I 이슈 접근의 한계
    2. (리스크) 제품/기술, 근로 현장 속의 D&I
    3. (기회) 혁신의 드라이버, D&I
    4. (미래상) 기업이 그리는 공존·공생의 사회
    5. 종합 및 시사점

    [Executive Summary]
    다양성과 포용성(Diversity & Inclusion, D&I) 이슈는 조직 구성원 관리 측면에서 주로 다루어졌으나, D&I는 비즈니스 차원에서도 중요한 테마임 
    ○ D&I 이슈가 과거와 현재의 비즈니스에 미친 영향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D&I의 의미를 새롭게 조명하고, 기업 경영에 D&I를 내재화해야 하는 구체적인 단서를 찾고자 함

    (리스크) D&I는 제품/기술의 안전성, 접근성, 완전성과 직결되며, 구성원의 안전과 생산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임
    ○ 의약학, AI/자율주행 분야, 자동차 안전과 유해 화학물질 관리에서 성별·인종 등 다양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 것이 중대한 제품/기술적 오류를 초래함
    ○ 남성 위주의 근로 환경 조성이 여성 구성원의 안전과 생산성에 영향을 줌
     
    (기회) D&I 이슈는 기업의 혁신 잠재력을 증대시키는 유용한 접근 프레임이 될 수 있음
    ○ D&I 이슈가 문화적 非기득권에 국한된 이슈라는 통념과 달리, D&I 이슈는 비즈니스 혁신 동기로써 전 인류의 삶을 한 단계 도약시키는 역할을 함
    ○ 타자기(1808년), 전화기(1876년), 휘어지는 빨대(1937년), 스캐너(1978년), Universal Design을 원칙으로 한 OXO 필러(1990년), 나이키의 핸즈프리 운동화(2015년)가 대표적인 D&I 이슈 기반 혁신 사례임

    (미래상) 기업은 D&I 이슈를 비즈니스에 적극적으로 반영하기 시작했으며 기업은 이를 통해 공존·공생의 구체적인 이미지를 소통함
    ○ 패션 업계에서는 쉬운 착용과 함께 디자인의 심미성을 보장하는 어댑티브 패션(Adaptive Fashion)이 부상하고 있으며, 컨텐츠 업계에서는 카메라 앞과 뒤에서의 젠더 균형과 컨텐츠 내 다양성 확보를 위한 노력이 두드러짐
    ○ 화장품 업계에서는 특정 성별을 타겟하지 않는 젠더 인클루시브(Gender-inclusive)와 개인의 피부 색상을 존중하는 제품 출시 등 D&I를 차별화· 전략화하는 트렌드가 부각됨
    ○ 장난감 제조 업계에서는 편견 없는 장난감을 출시하고, 광고 업계는 문화적 특성에 따른 차별적 광고 대상 설정을 근절하기로 선언함

    기업은 D&I 이슈를 조직 구성원 관리 차원을 넘어 비즈니스 차원으로 확장함으로써 비즈니스 리스크를 관리하고 혁신을 도모하는 한편, 지속 가능한 사회의 구체적인 상(像)을 제시할 수 있음

    • 조회수 : 3,554
    • 추천수 : 92
    • 전문보기
  • [친디아 플러스] vol.110
    • 경영
    • 환경

    탄소포집∙저장∙활용(CCUS)을 바라보는 두 가지 시각

    • 날짜2022.07.21
    • 글쓴이진윤정

    탄소중립 게임체인저 기술의 하나로서 탄소포집∙저장∙활용(CCUS)에 대한 관심이 재고조되는 가운데 CCUS를 둘러싼 우려의 목소리도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다. 과연 CCUS에 대한 찬반론의 주요 근거는 무엇인지, 특히 국제 시민단체 및 주요 연구기관에서 지적하는 근본적인 문제점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본다.

    [목차]
    1. CCUS에 대한 기대와 우려
    2. CCUS에 대한 긍정적 시각
    3. CCUS에 대한 부정적 시각
    4. CCUS의 역할, 어떻게 바라봐야 하나?

    [Executive Summary]
    탄소중립 게임체인저(Game Changer) 기술의 하나로서 탄소포집∙저장∙활용 (CCUS)에 대한 관심이 재고조되는 가운데 CCUS를 둘러싼 우려의 목소리도 지속적으로 커지는 상황 
    ○최근 EU(독일/영국), 미국, 캐나다 등 주요국들은 탄소중립 전략 기술로서 CCUS에 대한 투자 및 지원을 큰 폭으로 강화, 민간 차원의 투자도 확대
    ○반면 ‘21년 7월 500개 국제 시민단체들은 미국, 캐나다 정부에 CCUS 사업에 대한 정부 보조금의 중단을 요구하는 공개서한 전달

    이처럼 CCUS에 대한 엇갈린 움직임이 나타나는 바, 찬반론의 주요 근거를 바탕으로 CCUS를 균형 잡힌 시각에서 바라볼 필요
               [주요 국제기관에서 바라본 CCUS에 대한 긍정적 vs. 부정적 시각]




    긍정적 시각

    (IEA, IPCC 등)


    부정적 시각

    (CIEL, IPS, Global Witness 등)



      ► 글로벌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CCUS는 필수불가결한 수단
          (IEA, CCUS의 감축기여도 18%)
      ► 산업 부문의 탈탄소화뿐만 아니라 
          자원 순환 촉진을 위한 전략적 가치
          제공, 청정수소(그린/블루수소) 생산은
          필수
      ► 기존 화석연료 기반의 설비들을
          단기간에 좌초자산으로 만들지 않으며
          발전∙산업의 탄소중립 연착륙에 기여
      ► CCUS의 대규모 상용화를 위해서는
          천문학적 비용이 수반되는 데 비해
          전세계 CO2 배출량을 의미 있는
          수준으로 감축하는 데에는 한계 존재
      ► 기존 화석연료의 추가 개발이나 수명
          연장, 신규 착공의 근거로 활용되어
          오히려 청정에너지로의 전환 지연
      ► 포집된 CO2의 운송 및 저장에 따르는
          다양한 환경오염(지하수, 토양 등)이나
          안전사고의 리스크 존재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CCUS의 역할은 지역∙국가별 여건에 따라 달라질 것이며, 경제∙사회적 비용을 고려한 최적의 감축수단 조합 측면에서 결정 
    ○ 정부와 산업계는 CCUS 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투자를 이어 나가는 동시에 기술의 현실적인 적용가능성, 유용성과 한계를 잘 평가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

    • 조회수 : 14,773
    • 추천수 : 3
    • 전문보기
  • [친디아 플러스] vol.110
    • 경영
    • 경영일반

    애플이 ESG에 적극적인 이유

    • 날짜2022.07.07
    • 글쓴이민세주

    애플이 세계 최초로 기업가치 3조 달러를 기록하며 기업 역사의 신기록을 달성한 배경에는 이해관계자를 중시하고 지속가능성을 추구해 온 현 CEO 팀 쿡의 리더십이 중요하게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애플은 그동안 어떤 ESG 전략을 추진해 왔으며 왜 팀 쿡 현 CEO는 ESG에 적극적인지 기업 정체성과 차별화, 리스크 대응, CEO 역량의 4가지 측면에서 그 이유를 분석해보고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목차]
    1. 세계 최고기업이 된 애플
    2. 애플의 ESG 주요 전략
    ①(E) 환경 측면
    ②(S) 공급망, 지역사회 측면
    ③(G) 거버넌스, 다양성 측면
    3. 애플은 왜 ESG에 적극적인가
    4. 종합 및 시사점

    [Executive Summary]
    전 세계에서 가장 가치 높은 기업으로 기업 역사에 신기록 작성 중인 애플
    ○ 이 놀라운 성과의 배경에는 이해관계자를 중시하고 지속가능성을 추구해 온 現 CEO 팀 쿡(Tim Cook)의 리더십이 중요하게 작용
    ○ 그의 리더십 하에서 애플이 약 11년간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측면의 전략을 어떠한 방식으로 추진해 왔는지 살펴보고자 함

    (E 측면) 기후변화 문제 해결 동참, 친환경재료 사용 및 지구 자원 보호 추진
    ○ 적극적으로 재생에너지에 투자하여 2030년까지 공급망의 탄소중립 달성 계획, 재활용 소재 사용을 꾸준히 확대함으로써 제품의 탄소발자국을 줄여 나감

    (S 측면) 공급망의 사회적 책임 강화, 접근성 제고 및 지역사회와 공생 노력
    ○ 모든 공급사에 엄격한 사회책임 기준의 권고 및 지속적인 평가로 문제를 개선 중이며, 제품과 소프트웨어에 접근성 보조기술 제공

    (G 측면) ESG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다양성과 접근가능성 제고에 적극적
    ○ 경영진 평가보상에 ESG 경영성과를 반영 중이며, 다양성의 제고를 위해 지속적인 인재 영입과 미래인재 육성 이니셔티브 추진

    4가지 측면에서 생각해볼 수 있는 애플이 ESG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이유
    ① 기업 정체성: ESG와 지속가능성은 창업 때부터 이어져 온 ‘디자인 회사’라는 정체성에 부합하는 자연스러운 목표
    ② 차별화 포인트: 지속가능성은 안드로이드 진영의 추격에 대응할 돌파구로서 경쟁우위 차별화의 포인트이자 새로운 경쟁의 룰로 선택했을 가능성
    ③ 리스크 선제 대응: 애플을 고질적으로 괴롭혀 온 ESG 리스크 요인들을 더 이상 외면할 수 없는 상황에 따른 정면돌파 선택
    ④ CEO의 전문성: ESG는 공급망 관리 전문가로서의 경험을 가장 잘 활용할 수 있는 전략적 이슈 

    애플 사례를 통해 회사 고유의 DNA와 ESG 전략 연계의 중요성 및 새로운 차별화 포인트를 ESG로 삼아 경쟁우위 확보가 가능함을 알 수 있음
    ○ ESG 경영을 회사 아킬레스건의 극복 기회로 활용하고, CEO의 경력과 역량을 가장 잘 발휘할 수 있는 분야를 선택하여 추진해야 빠르게 가시적인 성과를 달성할 수 있음

    • 조회수 : 15,482
    • 추천수 : 2
    • 전문보기
  • [친디아 플러스] vol.110
    • 경영
    • 경영일반

    ESG 경영 시대, 기업 공익재단의 새로운 역할 - 사회혁신을 주도하는 체인지 메이커

    • 날짜2022.06.24
    • 글쓴이류희숙

    코로나 이후 기업이 지역사회와 국가가 당면한 사회과제를 찾아내고 해법을 제시하는 사회혁신을 기대하는 이해관계자들의 니즈가 증가하고 있다. 모기업의 지속가능비전과 사회혁신 테마를 연결하고 있는 10여개의 글로벌 기업재단의 사례를 통해 글로벌 ESG 경영 트렌드 속에서 기업재단의 역할은 어떻게 변해야 하는지 알아보자.

    [목차]
    1. 검토 배경 
    2. 기업 사회혁신·기업재단에 대한 최근 연구 동향 
    3. 글로벌 선진 기업재단 사례
    4. 기업공익재단의 베스트 프랙티스
    5. 종합

    [Executive Summary]
    코로나 이후 기업의 사회혁신에 대한 역할이 강조되면서 기업의 공익재단도 기업 사회공헌의 보조 역할에서 확장, 고유의 차별화된 새로운 역할 기대   
    ○ 기업은 E(환경), G(거버넌스)에 집중하되, S(사회) 영역 중 지역사회와 국가가 당면한 사회과제를 찾아내어 해결하는 사회혁신 영역에서 기업 공익재단의 주도적 역할 수행 필요
    ○ 사회혁신은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아이디어의 적용 및 다양한 주체들의 참여로 상호작용을 통한 해법 도출의 측면에서 기업과 사회를 연계하는 기업 공익재단의 역할 중요

    코로나 유행 상황에서 공익재단의 사업 규모 확대, 지원 프로세스의 효율화, 지역사회 집중, 공공부문과의 협력 확대 등 긍정적인 트렌드가 나타남
    ○ 기업과 기업재단이 주도하는 사회혁신은 ‘지속가능한 사회의 변화’라는 관점에서 기존의 CSR 개념으로부터 한 단계 더 나아가 지역사회와 환경에 대한 책임을 강조하고, N-GO·공공부문과의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기업과 사회에 축적되는 자산
    ○ 기업재단의 혁신에 대해 주목하게 되면서 재단의 프로그램 측면을 비롯한 관리, 재정운영, 조직구조에 대한 혁신의 필요성이 제기

    BMW재단, IBM재단 등 글로벌 기업의 재단들은 모기업의 지속가능경영 비전과 사회혁신 테마를 연결하여 차별화된 사회혁신 추진
    ○ 모기업의 기반을 토대로 활용하여 사회혁신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되 유망한 아이디어들을 도출 및 발전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임직원들이 가진 실무 경험을 자원봉사에 활용함으로써 글로벌 리더십의 역량 확장
    ○ UN SDGs와 연계한 중장기 목표 설정, 3년 이상의 장기적이고 광범위한 지원, 협력 기관의 역량강화를 통해 자생할 수 있는 모델 지향

    향후 기업재단은 글로벌 ESG 경영 트렌드를 반영하여 사회적 니즈에 대한 충족을 위해 혁신적 관점에서 프로그램을 발굴하고, 사업 실천 프로세스 정립 등을 위한 새로운 역할을 수행해야 함
    ○ 기업재단은 정부 정책이 미치지 못하는 영역이나 고유의 차별성을 발휘할 수 있는 영역을 선제적으로 발굴하는 ‘센싱’, 지식·사례·성과를 공유하는 협력의 ‘허브’, 다양한 해법을 시도하는 ‘실험실’이 될 수 있어야 함
    ○ 또한, 기업가적 사고를 공익사업에 적용하여 아이디어를 육성하는 ‘인큐베이터’ 역할을 통해 기업재단으로서 사회적인 신뢰를 얻고 적극적으로 소통하기를 기대

    • 조회수 : 13,493
    • 추천수 : 1
    • 전문보기
  • [친디아 플러스] vol.110
    • 산업
    • 에너지/소재

    친환경소재 패러독스 - LCA 역풍을 우려하는 자동차 경량소재

    • 날짜2022.06.08
    • 글쓴이박수항

    차량 운행 과정에 탄소배출이 집중된 내연기관차 시대, 기업들은 연비상승에 도움이 되는 경량소재를 ‘친환경 소재’로 규정하고 홍보해왔다. 하지만 범세계적인 탄소중립 추진체계 하에서 자동차 산업의 환경 규제 방향은 제조단계를 포괄하는 방향으로 확대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친환경차의 대명사인 전기차 시대, 이러한 변화의 바람이 경량소재 산업에 미칠 영향과 해당 기업들의 대응 전략을 짚어본다.

    [목차]
    1. 전기차 시대, 환경영향 평가 기준의 진화  
    2.  LCA 역풍을 우려하는 경량소재
    3. 주요 경량소재 및 기업의 대응방향
    4. 종합 및 시사점

    [Executive Summary]
    全 Life Cycle 탄소배출량 중 제조단계에 약 60% 배출량이 집중되는 전기차
    ○ 내연기관차는 탄소배출량의 75%가 운행단계에서 배출되기 때문에 지금까지는 연비규제를 통한 탄소 배출량 저감을 유도해 왔음
    ○ 반면, 전기차는 운행단계의 탄소배출량이 0%지만 배터리 무게보상을 위한 경량소재 채용 확대 등으로 인해 제조단계에서의 탄소배출량 비중이 부각

    EU 등 주요국은 자동차 탄소 배출량에 따른 LCA 기준의 규제 도입에 대해 검토 중에 있는데, 제조단계 탄소배출량이 많은 경량소재에 불리할 가능성 
    ○ 알루미늄, CFRP 등 대표적인 경량소재는 제조 단계에서 범용 소재인 철강에 대비하여 4~18배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것으로 평가 

    경량소재 기업들은 탄소배출을 저감할 돌파구 마련을 위해 고심하고 있으며, 접근 방향은 크게 ① 재생에너지 도입, ② 재활용 원료 비중 확대, ③ 혁신공정 개발로 분류
    ① [재생에너지] 주요 설비와 공정을 유지하면서 단기적/직관적인 대응이 가능하고, 수요 기업이 재생에너지 사용을 계약요건으로 요구하는 사례 증가
    ② [재활용 원료] 신제품 대비 약 80% 이상의 탄소 저감이 가능하나 현재 일정 수준의 품질 저하를 수반하는 ‘Cascade Recycling’이 주를 이루고 있어 고품질 소재로 순환사용(Closed-loop Recycling) 확대 여부가 관건
    ③ [혁신공정] 탄소배출이 집중되어 있는 공정을 개발 및 대체하여 전체 배출량을 저감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알루미늄을 중심으로 진행 중

    산업 차원의 단기적 탄소저감 성과 확보는 쉽지 않을 것이나, 적극적인 구조 변화를 도모하는 상위기업 등을 중심으로 양극화 확대 가능
    ○ 재생에너지 확대와 대규모 투자 수반에 따른 경제성 확보, 공급망 재편, 재활용 원료 확보 등 구조적인 이슈에 대한 선결이 필요
    ○ 일부 상위 기업들은 저탄소 소재의 프리미엄 선점을 위해 설비 재편, 저탄소 브랜드 론칭 등 적극적으로 대응 추진 중

    원료소재에 대한 수입 의존도가 높은 국내 소재 및 부품 산업의 구조를 고려하여 가공단계에서의 저탄소 경쟁력에 집중할 필요가 있으며, 철강은 저탄소 소재로서의 장점을 부각시키는 동시에 경량화 솔루션에서도 추가적인 경쟁력 제고 노력이 필요

    • 조회수 : 4,909
    • 추천수 : 14
    • 전문보기
  • [친디아 플러스] vol.110
    • 경영
    • 인사조직

    일하는 방식의 하이브리드 시대, 원격 리더십이 부상한다

    • 날짜2022.05.27
    • 글쓴이조성일

    코로나19와 더불어 4차산업혁명, 긱 이코노미(Gig Economy) 확산 등의 영향으로 일하는 방식이 전통적인 대면 방식에서 비대면 방식이 혼합된 하이브리드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일하는 방식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이와 연관된 다른 분야에도 영향을 미친다. 그 중 가장 중요한 영역이 바로 리더십이다. 대면 상황을 전제로 한 리더십이 과연 비대면 상황에서도 동일하게 효과를 발휘할 것인가라는 의문에서 원격 리더십의 개념이 탄생했고, 이것이 최근 상황과 맞물려 관심을 받고 있다. 이번 호에서는 최근 부상하고 있는 원격 리더십에 대해 이야기해 본다.

    [Executive Summary]
    ○ 코로나19 영향으로 재택과 사무실 근무를 혼합한 하이브리드 일하는 방식이 확산
    - 대면과 비대면 일하는 방식이 공존함에 따라, 비대면 상황에서 리더의 역할에 관심이 집중되면서 원격 리더십 개념이 부상
    ○ 일반적으로 원격 리더십은 ‘구성원과 지속적인 대면접촉이 없는 비대면 상황에서 구성원의 성과를 관리하고 소속감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리더의 자질’로 정의 
    - 케빈 아이켄베리와 웨인 터멜은 원격 리더십 모델을 제시하며, 원격 리더십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가 IT 기반의 소통 스킬이라고 강조
    ○ 원격 리더십은 기존 서번트 및 공유 리더십 등 기존 리더십과 비교 시 다른 특징이 존재하지만 근본은 리더십임
    - 테크놀로지 역량만 있고 리더십 역량이 없다면 원격 리더십이 발휘되기 힘듦
    - 따라서, 원격 리더십을 잘 발휘하기 위해서는 리더십 역량이 기본이 되어야 함

    • 조회수 : 13,961
    • 추천수 : 3
    • 전문보기
처음 목록 이전 목록 1 2 3 4 5 다음 목록 마지막 목록

POSRI
LOVE 지수

POSRI LOVE

39,693,044

내가 본 자료

/
TOP 열기/닫기 버튼